<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枯死직전 건설업계] (상) 비상구가 안보인다
입력2000-11-01 00:00:00
수정
2000.11.01 00:00:00
정구영 기자
[枯死직전 건설업계] (상) 비상구가 안보인다
공사는 줄고 업체는 늘고…유동성 악화까지 '첩첩산중'
건설업계가 사면초가에 몰려있다. 간판기업인 동아건설이 붕괴 일보 직전에 있고, 건설 한국의 대명사인 현대건설 역시 유동성 위기에 빠져 앞날을 예측키 어려운 상황에 처해있다.
특히 건설업계를 둘러싼 주변환경은 갈수록 악화되고 있어 특단의 돌파구 마련이 없는한 건설한국의 신화는 먼 옛 이야기로 침몰할 가능성이 큰 상태다.
◇건설경기 최악=지난 97년이후 건설투자는 줄곧 내리막길을 걸어왔다. 97년 89조원이었던 건설투자 규모는 98년 80조원, 99년 72조원으로 줄어 들었으며, 올들어 상반기에도 31조3,300억에 그쳤고 올 전체로도 69조8,400억원(추정치)으로 전년수준에도 못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특히 내년이후에는 국제통화기금(IMF) 이전에 발주한 공사의 시공이 완료되는 반면 새로운 공사발주는 현저히 줄어 일감부족 현상은 더욱 심화될 전망이다.
이같은 공사물량의 감소에도 불구하고 건설업체수는 오히려 증가하고 있다. 밥그릇은 줄었는데 숟가락은 늘어난 역(逆)의 함수관계가 성립되고 있는 셈이다.
실제 지난해 건설업체수는 3만4,859개였지만 건설업 면허제가 등록제로 전환되면서 올들어 2,000여개 가까운 업체가 늘어났다. 이에따라 업체당 평균수주액은 IMF 이전의 50% 수준으로 감소하고, 경쟁심화에 따른 저가입찰로 경영여건이 갈수록 악화되고 있다.
설상가상으로 난개발 방지대책, 용적률 강화 등 각종 건축규제 강화조치들은 그럴듯한 명분에도 불구하고 건설업계의 운신 폭을 좁히는 기폭제가 되고 있다.
◇유동성 부족 심화=유동성 부족은 일감 부족과 함께 건설업계의 발목을 잡는 2대 난제다.
업종 특성상 건설업은 제조업과 달리 선투자 자금이 많아 현금흐름이 원활치 못한데다 자금조달구조 역시 취약하다. 그러나 최근 건설업계가 겪는 유동성 문제는 이같은 구조적 원인보다는 시장의 불신에 따른 결과라는 점에서 더욱 심각한 상황이다.
현재 금융기관들은 업종별 신용을 5개 등급으로 구분하고 있는데, 이중 주택업체는 최하위 5등급으로 분류되고 있다. 또 신용평가회사의 신용등급 기준이 강화되면서 몇 개의 건설업체를 제외하곤 신용등급이 모두 BBB 이하다.
이같은 신용저하는 주식ㆍ회사채등 직접금융을 통한 자금조달에도 상당한 차질을 빚게 하고 있다. 실제 올들어 지난 상반기 주식시장을 통한 건설업계의 자금조달 규모는 770억원으로 지난해 2조8,170억원의 2.73%에 불과하다. 또 올 상반기 회사채 차환및 신규발행을 통해 조달한 자금은 7,700억원으로 지난해의 2조9,130억원의 26.4%에 그쳤다. 건설업체의 직접금융 조달의 길은 사실상 막혀버린 셈이다.
동아건설의 워크아웃이 중단되고 현대건설이 월말마다 유동성 위기의 단골로 등장하는 이유 역시 이같은 상황의 외부적 표출에 지나지 않는다.
◇부도 도미노현상 막아야= 최근 건설업계가 위기로 몰린데는 건설업계 자체의 몫 또한 적지 않다. 그동안 국내 건설업계는 수익성은 고려치 않은채 외형불리기에 골몰해왔다. 이같은 거품경영은 IMF와 같은 위기국면에서는 더욱 취약할 수 밖에 없는 만큼 부도 양산->신용저하->자금난의 악순환을 지속해 온 것이다.
그러나 지금의 사태는 금융시장이 제기능을 못하고 있는데 더 큰 원인으로 꼽힌다. 건설업은 업종특성상 제조업과는 달리 초기 투입자금이 많다. 현금흐름이 원활치 않고 자금조달구조 역시 취약할 수 밖에 없는 것이다. 따라서 단순한 재무적 잣대만을 가지고 부실판정을 내리고 자금지원을 기피해서는 안된다는게 건설업계 관계자들의 주장이다.
특히 건설업은 여타 산업과 달리 고용에 지대한 영향을 주는 등 사회적인 파급효과가 크며, 전후방 산업 등 국가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큰 만큼 대안 마련과 병행해 구조적 개선을 이끌어 내야 할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당장 급한 것은 돈이 돌게 하는 것이다. 경쟁력있는 멀쩡한 기업이 일시적인 유동성 문제로 도산하는 사태는 막아야한다. 구조적 부실업체는 퇴출시키되 무차별적 무더기퇴출로 국내건설산업 자체가 붕괴되는 일이 일어나서는 안된다는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정구영기자 gychung@sed.co.kr
입력시간 2000/11/01 16:58
◀ 이전화면
오늘의 핫토픽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