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서경 펀드닥터] 주식형 3주만에 반등

성장형 수익률 3.98%


중국의 긴축우려와 고유가 등의 악재에도 불구하고 미국의 금리인하 기대감으로 코스피지수가 사상 최고치를 다시 경신하는 상승세를 보이면서 주식펀드도 3주만에 반등했다. 펀드평가사 제로인이 2일 아침 공시된 기준가격으로 펀드수익률을 조사한 결과, 약관상 주식투자 상한이 70%를 초과하는 성장형 펀드는 한 주간 3.98%의 평균 수익을 기록했다. 이는 같은 기간 4.37% 상승한 코스피 지수보다 부진한 성과다. 주식투자비중이 성장형보다 낮은 안정성장형(주식투자비중 41~70%)과 안정형(주식투자비중 10~40%)은 각각 2.13%, 1.03%의 수익률을 기록했다. 이외에 코스피200지수를 추종하도록 설계된 인덱스 펀드는 같은 기간 4.79%로 양호한 성과를 보였다. 채권펀드는 주간 마이너스 0.05%(연환산 -2.67%)로 손실을 본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주 채권시장은 경기지표호조와 미국 금리 결정을 앞두고 시장 경계감이 작용하며 약세를 보였다.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가 시장의 예상대로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하했으나 향후 추가금리 인하가능성을 차단하는 발언이 나오면서 금리 상승을 부추겼다. 같은 기간 국고채 3년물 유통수익률은 0.10%포인트 상승(채권가격하락)했다. 세부 유형별로 살펴보면 국공채형은 마이너스 0.03%(연환산 -1.44%), 공사채형은 마이너스 0.05%(연환산 -2.83%)의 수익을 기록했다. 설정원본액 100억원 이상, 운용기간이 1개월이 넘는 251개 성장형 펀드 중 78개 펀드가 코스피 지수 수익률을 초과하는 성과를 냈다. 대형주 펀드가 상대적으로 강세를 보인 가운데 중소형주 펀드와 배당관련 펀드들은 중하위권에 머물렀다. 펀드별로 살펴보면 외국인 지분율이 높은 종목에 주로 투자하는 ‘KB2000시대외국인선호주주식(Class-C)’펀드가 한 주간 6.39%로 가장 높은 수익률을 기록했다. 같은 기간 ▦삼성전자 8.28% ▦SK에너지 20.00% ▦현대모비스 8.66% 등이 상승하면서 펀드수익에 기여했다. 이로써 이 펀드의 월간 성과 %순위가 직전주 85위에서 65위로 올랐다. 이어서 ‘동부TheClassic진주찾기주식 1ClassA’ 펀드는 5.89%로 주간 상위권 수익률을 기록하면서 월간 %순위는 직전주 82위에서 72위로 상승했다. ‘삼성착한아이예쁜아이주식종류형 1-A클래스’ 펀드는 5.67%로 주간 상위권 수익률을 유지하면서 월간 순위에서 1위로 올라섰고 직전주 월간 순위 1위를 차지했던 ‘미래에셋3억만들기인디펜던스주식K- 1’ 펀드는 같은 기간 4.79% 상승하는데 머물러 월간 성과순위 3위로 밀려났다. 반면 배당관련 펀드들이 상대적으로 부진했고 중소형주 펀드들은 소형주 약세를 반영하며 주간성과 하위권에 머물렀다. 설정원본액 100억원 이상, 운용기간이 1개월이 넘는 41개 채권펀드 중 18개 펀드가 주간 손실을 기록했다. 한 주간 국고채 1년물과 3년물 유통수익률은 각각 0.05%포인트, 0.10%포인트 상승했다. 장기 금리가 상대적으로 약세를 보이면서 듀레이션(잔존만기 유사개념)이 긴 펀드들이 상대적으로 부진한 수익률을 기록했다. ‘하나UBS채권혼합 4’ 펀드가 한 주간 0.12%(연환산 6.39%)로 최고 수익률을 기록해 월간 순위가 직전주 30위에서 금주 13위로 올라섰다. 이 펀드의 듀레이션은 0.12로 매우 낮아 상대적으로 양호한 성적을 낼 수 있었다. 이어서 주간 상위권을 차지한 ▦부자아빠퇴직채권 1’ 0.12%(연환산 6.06%) ▦ING ECF단기유동성혼합 3ClassA 0.10%(연환산5.02%) ▦하나UBS단기채권혼합 1 0.09%(연환산4.91%) 등의 펀드들 모두 듀레이션이 1미만으로 짧았다. 반면 ‘Tops적립식채권 1’ 펀드 와 ‘Tomorrow장기우량채권K- 1 ClassA’ 펀드처럼 듀레이션이 긴 펀드들은 각각 마이너스 0.16%(연환산 -8.45%), 마이너스 0.24%(연환산 –12.30%)로 손실을 본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자산운용협회에 따르면 증권 및 MMF 수탁고는 총 240조9,060억원으로 한 주간 7조9,482억원 증가했다. 모든 유형에서 큰 폭의 자금 유입이 이뤄진 가운데 주식형 수탁고는 금주에만 무려 4조원이 넘는 자금이 몰렸고 MMF 수탁고 또한 1조3,863억원 증가한 52조8,463억원으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주식혼합형 수탁고는 31일 설정된 미래에셋인사이트혼합형 펀드에 자금이 대거 몰리며 1조5,181억원이 증가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울경제 1q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