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기간 내 실적 개선이 어려워 보이는 대형 수출주 대신 술, 음식, 의류 등 경기와 큰 상관없이 꾸준히 실적을 낼 수 있는 주식들이 국민연금의 선택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13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3월 말과 6월 말 기준 국민연금의 지분 변동 내역을 조사한 결과, 이 기간 국민연금이 추가 또는 신규 취득을 통해 지분율을 늘린 종목은 143개로 집계됐다. 특히 국민연금은 식음료품주 가운데 14개 종목에 대한 지분 투자를 확대했다. 사조산업(5.16%→8.61%), 농심(7.26%→10.50%), 롯데칠성(10.82%→13.08%), 오리온(5.93%→8.07%), CJ(7.44%→8.49%) 등의 지분율이 늘어났다. 도수가 낮은 소주로 인기몰이 중인 무학(6.07%)과 중국에 대한 우유 수출 확대가 기대되는 매일유업(5.09%)은 신규 편입 종목에 이름을 올렸다. 식음료품주와 함께 제약주(10개), 섬유·의복주(8개), 미디어주(8개) 등도 국민연금 쇼핑 바구니의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이들은 모두 경기방어주로 분류되는 업종들로, 상승기에는 경기민감주보다 상승폭이 작은 대신 불황기에도 꾸준히 이익을 내는 특징을 지닌다. 그리스 사태 및 미국 금리 인상 등 대외 변수로 시장 변동성이 커진 가운데 국민연금이 ‘안정’에 방점을 둬 포트폴리오를 구축한 것으로 풀이된다.
반면, 국민연금이 5% 이상 보유 중인 종목 중 지분율을 낮추거나 보유주식 명단에서 제외한 종목은 총 80개로 집계됐다. 지분율을 낮춘 업종 중에는 자동차부품주(7개)가 많은 것이 눈에 띄었다. 현대모비스(8.02%→7.01%), 현대위아(12.35%→11.72%), 세종공업(9.32%→7.26%) 등의 지분율이 감소한 가운데, 디와이와 디와이파워는 5% 이상 보유주식 명단에서 제외됐다. 이밖에 대우조선해양(3월 말 기준 7.09%), 현대하이스코(8.42%), 로만손(9.25%), 한글과컴퓨터(7.15%), 포스코켐텍(7.10%) 등도 5% 이상 대량 보유주식 명단에서 이름이 지워졌다.
한편, 국민연금은 최근 미국계 헤지펀드 엘리엇매니저먼트의 공격을 받는 삼성물산의 지분율은 11.29%에서 11.88%로 높였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