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월 서울 소재 유명 사립대를 졸업한 이미영(24)씨. 최우등 졸업생 자격으로 총장에게 대표 졸업장을 수여 받을 정도였지만 지금 그는 실업자다. 지난 겨울 30여개 회사에 이력서를 내봤지만 면접은 딱 2번 봤고 그나마 합격소식은 듣지 못했다. 이씨는 "백수 신세가 돼 처음에는 우울했는데 주위에 취업된 친구들이 별로 없어 이제는 오히려 안심이 된다"고 쓴웃음을 지었다. 취업자는 꾸준히 증가하는데 청년실업률은 오히려 높아지는 '역진현상'이 벌어지고 있다. 취업자 수는 매월 30만~40만명씩 늘어나지만 청년실업률은 지난해 중반 반짝 좋아졌다가 다시 8% 중반대로 접어들었다. 3대 경제지표(산업ㆍ고용ㆍ물가) 중 그나마 고용이 가장 나은 모습을 보이지만 이면에는 청년실업의 고착화라는 우리 경제의 그늘이 드리워져 있다. 통계청이 16일 발표한 2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2월 취업자 수는 46만9,000명을 기록, 7개월 만에 가장 많이 늘어났다. 계절조정 취업자 수는 전월보다 23만3,000명 급증, 2004년 9월(26만명) 이후 6년5개월 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다. 한파와 구제역 등으로 잠시 주춤했던 고용 회복세가 빠르게 개선된 것이다. 제조업 취업자 수는 지난해 2월보다 26만2,000명 늘어 고용 회복세를 주도했고 서비스업 취업자도 보건ㆍ복지(20만3,000명)와 사업지원(10만5,000명) 등을 중심으로 증가세를 이어가 민간 부문의 고용 개선세도 이어졌다. 실업률은 4.5%로 1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으나 이는 큰 문제가 아니라는 게 정부 설명이다. 연초 지방자치단체들이 모집한 지역 일자리 사업 신청자가 급증했고 과거 비경제활동인구였던 사람들이 공공근로를 하러 나와 취업자가 됐다가 재정지원 일자리가 줄어든 뒤 실업자가 된 여파도 있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3월에도 고용 개선세는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며 "다만 일본 대지진과 유가 상승 등 불확실성이 있는 상황이므로 고용개선 흐름이 지속될 수 있도록 일자리 창출 노력을 지속하겠다"고 밝혔다. 문제는 청년 실업이다. 2월은 졸업시즌이라 전통적으로 청년층(15~29세) 실업자가 반짝 늘어나는 시기이기는 하지만 8.5%까지 치솟은 청년실업률은 심상치 않다는 게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청년층 실업률은 지난해 12월(8.0%) 이후 3개월째 8%대의 고공행진을 이어갔으며 고용률은 40.1%로 1월의 40.6%보다 낮아져 고용부진이 지속되고 있다. 이웃나라들과 비교할 때 전체 실업률은 선진국 중 실업률이 가장 낮다는 일본(4.7%)보다 낮지만 청년실업률만큼은 일본(7.7%), 독일(7.5%)보다 오히려 높은 모습이다. 전병유 한신대 교수는 "대기업들이 청년층 일자리 기회를 늘리지 못하는 것은 일종의 시장실패에 빠져 있는 것이고 정부의 청년고용정책은 한시적 정부지원 인턴제 등에 예산을 투입하는 데 그치고 있다"며 "정부는 소득보장과 고용서비스를 결합한 청년고용안전망을 구축해야 한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