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총재는 이날 오전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외신기자클럽 초청 간담회에서 “3.4%의 경제성장률 전망치가 외견상 낮은 것으로 보일 수 있다”며 “이는 이례적 요인에 의한 것일 뿐이며 한은이 한국 경제를 비관적으로 보는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이 총재는 “올해 분기별 성장률을 1% 내외로 예상하고 있다”며 “작년보다 회복세가 더 나아지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경기 회복세가 체감경기와는 다를 수는 있다고 밝혔다.
추가 금리 인하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지난해 두 차례 금리를 내렸기 때문에 그 때보다는 금융완화 정도가 확대됐다”며 “금리 인하 효과를 좀 더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답변했다.
특히 “작년 10월 이후 가계부채 증가세가 높아져 금융안정 리스크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디플레이션 가능성에 대해선 “일각에서 우려가 있지만, 국제유가 하락으로 가까운 시일 내에 디플레이션이 발생하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저물가가 2년 넘게 이어지는 주된 요인은 국제유가와 농산물 가격 하락이며 구조적 변화도 일부 있었다”며 “구조 변화를 검토해 물가안정목표제의 대상지표, 적용시계, 적용범위 등을 원점에서 다시 살펴볼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이 총재는 구조개혁의 중요성을 거듭 강조했다. 성공적인 구조개혁을 위해 중앙은행이 어떤 역할을 할지 고민할 것이라 밝혔다.
구조개혁 과정에서 단기적으로 경기 회복이 저해될 수 있다는 주장에 대해 그는 “구조개혁은 성장을 저해하는 것이 아니라 비효율적 요소를 제거해 경제 활력을 높이는 과정”이라고 응수했다.
그는 “일부 기업의 구조조정 과정에서 일시적으로 성장이 둔화할 수도 있지만, 영향력이 크지 않을 것”이라며 “통화정책은 경기대응적 측면에 중점을 두고 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구조개혁에도 도움이 되는 방향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