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통신예절] "남들 사니 나도 사자"
입력1998-11-02 00:00:00
수정
1998.11.02 00:00:00
IMF(국제통화기금) 관리체제 아래서 온나라가 한푼의 소비라도 줄이기 위해 허리띠를 졸라매고 있는 상황에서 유독 소비가 늘어나는 곳이 있다. 바로 이동전화 시장이다.국내 이동전화 가입자는 IMF 그늘 아래서도 욱일승천의 기세로 증가하고 있다. 9월말 현재 1,219만명에 달해 가장 보편적인 무선통신 서비스인 삐삐 시장을 이미 눌렀다. 증가 속도로 봐서는 분명 기네스북 감이다. 도대체 끝이 어디인지 모를 지경이다.
업체들은 국민 모두가 이동전화를 1대씩 소유하는 「이동전화 보편화 시대」가 열리고 있다며 한껏 들떠 있다.
그러나 이같은 급성장의 내면을 꼼꼼히 살펴보면 적지 않은 문제점이 내재돼 있음을 쉽게 발견하게 된다.
「가입자 500만명 돌파」, 「최단기간 200만명 확보」라는 업체들의 화려한 구호 뒤에는 요금을 받지 못해 미납채권으로 쌓이는 돈들이 산더미처럼 늘어나는 고민이 숨어 있다.
정보통신부가 집계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 7월말 현재 이동전화 5사가 요금을 받지 못한 금액은 1,067억원에 달한다. 삐삐업체 등 다른 무선통신 업체를 포함하면 금액은 훨씬 늘어난다. 요금 미납으로 이동전화 이용을 정지당한 사람도 56만여명에 달한다. 한마디로 외화내빈(外華內賓)이다.
이같은 현상의 가장 큰 책임은 업체들에게 있다. 남들이 사니 나도 사는, 또 요금을 지불할 능력은 생각지 않고 무턱대고 가입하는 소비자들에게도 책임이 없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한사람이라도 더 가입시켜놓고 보자는 업체들의 마케팅 전략이 부실가입자를 양산한 주범이다.
가입시 부모의 동의까지 받아야 하는 10대 미성년자 가입 수가 셀룰러는 1.7%(19만2,000명), PCS는 3.7%(15만4,000명)나 차지하고 있다. 이들 중에는 상당수가 친구따라 덩달아 가입해 놓고 요금을 못내고 있다.
요즘 이동전화 업체들에게는 도대체 원가개념이란 것을 찾아볼 수 없다. 가입자 유치를 위해 단말기 보조금으로 지급한 돈이 매출액보다 더 많다. 배보다 배꼽이 더 큰 장사를 하고 있는 셈이다.
과도한 단말기 보조금은 급속한 이동전화 보급의 확산은 가져왔지만 업체들이 부실화 되고, 왜곡된 통신소비문화를 양산하는 부작용도 동시에 낳았다.
부작용은 도처에서 갈수록 자주 목격되고 있다. 초등학생이 휴대폰을 갖고 다니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시도 때도 없이」 품위없이 걸어대는 불필요한 전화사용 풍경에 눈살을 찌푸리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통신도 소비다. 통신에는 전파가 사용될 뿐만 아니라 시간과 돈이 함께 쓰여진다. 아직 국내 통신서비스에 이용되는 장비들이 대부분 수입되고 있는 점을 고려 하지 않더라도 건전한 통신소비문화는 21세기 정보사회의 튼튼한 토대가 된다는 점에서 지금부터라도 옳바른 통신문화 정착에 힘쓸 때다.【백재현 기자】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