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태신 한국경제연구원 원장은 9일 전경련 컨퍼런스센터에서 열린 '박근혜 정부의 규제개혁 추진 점검 및 향후 과제' 세미나에서 "수도권 규제처럼 손에 잡히는 핵심 규제에 대한 논의가 미흡할 뿐 아니라 제도개선에 이른 사안이 눈에 띄지 않아 국민의 체감도가 낮을 수밖에 없다"며 이같이 평가했다.
이날 토론에 나선 김성준 경북대 교수는 현재 규제 건수 추이를 볼 때 규제감축에 대해 현 정부가 제시한 임기 내 20% 철폐라는 목표치 달성이 어려울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 교수는 "규제정보 포털에 등록된 규제 건수가 2013년 12월 기준 1만5,269건에서 2015년 7월 현재 1만4,688건으로 약 3.8% 정도 감소율을 나타냈다"며 "이 기간 중 최근 1년을 잘라보면 2014년 8월 1만4,976건에서 288건 줄어든 셈이어서 감소율은 2%에 못 미치는 수준"이라고 말했다.
이혁우·김진국 배재대 교수는 "규제개혁 추진체계 개선이 2014년에 의욕적으로 추진됐으나 올해 들어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며 "국회가 의원 입법의 규제심사 필요성을 입법권 침해로 인식하는 것이 근본적인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혁우 교수는 "국회가 입법권을 가지고 있다 하더라도 사회적 비용과 편익의 형량을 고려해 의원입법에 대한 규제심사가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최성호 경기대 교수와 박정수 서강대 교수는 수도권 규제가 기업의 투자와 고용창출, 산업구조 고도화를 저해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최성호 교수는 "수도권이 입지 우위를 확보하고 있는 지식·정보 집약 산업, 첨단업종, 비즈니스 서비스, 기술집약 창업·벤처 등 규제완화의 우선순위가 높은 산업·부문부터 규제개혁을 추진하는 방안이 검토돼야 한다"고 말했다.
박정수 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역대 정부에서 논의해온 학교 주변 관광호텔 입지 허용이나 원격의료 단계적 도입 등의 서비스 산업 분야 규제완화가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이민창 조선대 교수와 김주찬 광운대 교수는 "지자체의 경우 규제개혁을 통한 지역경제 체질 개선보다 행정자치부가 제시한 규제완화 지침을 달성하는 데 급급한 실정"이라며 "지자체가 지역마다 산업발전을 가로막는 규제를 발굴하고 철폐하는 데 자발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