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포스코가 전기자동차용 철강차체(PBC-EV) 개발에 성공했다.
포스코는 9일 인천 송도 글로벌 연구개발(R&D)센터에서 정준양 회장을 비롯한 포스코 및 국내 자동차사 임직원 2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전기자동차용 철강차체 개발 결과 발표회를 가졌다.
정 회장은 이날 인사말을 통해 “PBC-EV는 친환경 녹색성장 및 고객과 동반성장을 위한 노력의 결실이며 포스코의 최첨단 철강소재와 기술력을 접목함으로써 전기차 상용화에 큰 기여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포스코가 2년만에 개발한 전기차용 차체는 기존 자동차 차체보다 무게가 25% 가벼우면서 안전성은 오는 2015년 적용되는 국제충돌안전규제 기준을 모두 충족하는 게 특징이다.
일반 차체보다 초고강도강 사용량을 40% 이상 늘리고 열처리를 통해 강도를 높이는 열간프레스성형과 가변롤을 사용해 초고강도강의 단면을 자유롭게 가공하는 가변롤성형과 같은 최첨단 공법이 적용됐다.
이에 따라 PBC-EV는 제품의 제조부터 폐차 후 고철 회수까지 기존 차량 대비 약 50%의 온실가스 배출을 줄일 수 있다. 또 고급강 사용량을 대폭 늘리면서도 기존 자동차 차체와 유사한 제조방법을 적용해 생산라인을 변경할 필요가 없어 제조비용 증가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했다.
앞으로 포스코는 자동차용 첨단소재 및 가공기술을 지속적으로 개발해 차체 경량화와 안전성은 물론 비용절감 측면까지 고객사 맞춤형 철강 솔루션을 제공할 계획이다.
미래 친환경 자동차인 전기차는 지난해 전세계에서 100만대 가량 판매됐고 2015년에는 678만대, 2020년에는 1,000만대 등 연평균 30% 이상 고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한편 포스코는 이날 연세대 송도 캠퍼스에서 ‘포스코 그린빌딩’기공식을 가졌다.
이 빌딩은 포스코와 연세대가 공동으로 에너지 저감형 오피스 및 공동주택 모델 개발을 위해 건설하는 것이다. 지상 4층, 지하 1층의 오피스와 지상 3층의 공동주택, 조립형 모듈러 건축물로 구성돼 있으며 포스코가 200억원을 출연했다.
포스코 그린빌딩은 건물 운영에 필요한 에너지를 태양광, 지열, 빗물재활용 등 110여종의 친환경 에너지원에서 확보할 계획이다.
정 회장은 “포스코는 환경경영이 기업의 윤리라는 경영철학으로 녹색성장 부분에 과감히 투자하고 있으며 이번 포스코 그린빌딩 건축으로 친환경 건축산업 분야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