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tSectionName(); [관광대국 도약] 선진국 진입위해 넘어야할 산 많다 "친절·위생은 기본… 비자 간소화 등 제도 개선 병행을"관광경쟁력 31위 불구 국민의식·환대 태도등 친밀도는 115위 그쳐숙박 등 인프라 부족 정부 규제도 걸림돌로 정민정기자 jminj@sed.co.kr ImageView('','GisaImgNum_1','default','260'); ImageView('','GisaImgNum_2','default','260');
올해부터를 한국 방문의 해로 선포한 대한민국이 세계 각국이 뛰어든 관광전쟁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하드웨어는 물론 국민 의식이나 태도 등 보이지 않는 경쟁력까지 갖춰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각종 자료나 수치들을 종합할 때 한국은 '3국 관광대전'의 경쟁 상대인 중국이나 일본에 비해 관광의 매력 요인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며 숙박•음식점•여행사•쇼핑 등 관광 인프라에서도 국내외 관광객들의 불만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한국관광공사가 집계한 관광불편 신고 현황에서 1위는 여행사(31%)로 나타났으며 숙박(10%), 택시(8%), 쇼핑(8%), 관광 종사자의 불친절(7%) 등이 뒤를 이었다. 이 같은 조사 결과를 참고해 전국민이 '버선발 정신'으로 무장, 의식과 태도를 개선해야 치열한 관광전쟁에서 성과를 얻을 수 있다. ◇관광대국 코리아, 문제는 현장에 있다=반세기 동안 산업화에만 집중해온 탓에 우리나라는 시민의식 부문에서는 선진국 수준에 한참 미치지 못하고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지난해 세계경제포럼(WEF)의 발표 자료에서 한국의 관광 경쟁력은 세계 31위였지만 외국인의 국민 환대 태도를 나타내는 관광친밀도는 115위로 현저히 떨어졌다. 특히 서양인과 동양인에 대한 차별이 문제로 꼽혔다. 한국문화관광연구원은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국인의 친절성을 조사한 결과 독일과 프랑스 관광객 중 79.7%와 77.9%가 한국인들이 친절하다고 응답했지만 일본과 대만 관광객은 각각 48.6%, 32.8%만 친절하다고 응답, 절반 이상이 불친절하다고 느낀 것으로 나타났다. 특급호텔을 제외한 대부분의 숙박업소와 식당의 비위생성과 불친절 등 현장의 문제점 개선도 시급하다. 지난주 말 명동에서 만난 일본인 이시카와 리에(27)씨는 "맛집 가이드 책을 보고 일부러 찾아간 음식점에서 종업원이 불친절한 태도로 응대하고 물컵의 위생상태도 좋지 않아 속상했다"며 "일본에서는 아무리 작은 음식점이라도 손님에게 친절하게 대하고 청결상태도 우수한데 한국 음식점들도 이런 점은 배웠으면 한다"고 말했다. 바가지 택시 요금도 외국인 관광객들이 불쾌하게 여기는 것 중 하나다. 일부 모범택시 외에는 기본적인 언어 소통이 이뤄지지 않는데다 미터기를 켜지 않고 목적지에 도착해 몇 만원씩 요구하는 사례가 끊이지 않고 있다. 이연택 한양대 관광과 교수는 "일본이나 스위스의 친절한 국민성은 관광산업의 소프트웨어인 동시에 시간이 지나면서 사회자본(Social Capital)으로 정착되고 있다"며 "참여주체들 간의 긴밀한 파트너십은 물론 국민들의 의식 개혁을 통해 한국만의 관광문화와 사회자본을 키우는 노력이 병행돼야 관광 선진국으로 도약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정부 규제도 관광산업 발전의 걸림돌=관광업계에서는 정부의 규제가 관광산업의 발목을 잡고 있다며 과감한 규제 철폐 및 지원을 요구하고 있다. 대표적인 것이 바로 올 1월1일부터 폐지된 영세율 제도. 외국인에 대한 관광호텔 숙박비 부가가치세 영세율은 지난 1997년 처음 도입된 후 10년이 넘도록 폐지와 적용을 반복해왔다. 2001년 한국 관광의 해와 2002년 월드컵 등을 치르면서 인바운드 업계의 외국인 관광객 유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2년 동안 영세율이 한시적으로 적용된 후 사스(SARS) 여파와 관광산업 부진으로 연장을 거듭하다 지난해 말까지 적용된 후 올 초부터 다시 폐지된 것. 그러나 업계에서는 한국 방문의 해 원년에 영세율을 폐지하는 것은 경쟁력 강화에 찬물을 끼얹는 조치라며 반발하고 있다. 예컨대 특2급 호텔의 스탠더드 트윈형 객실의 하루 숙박료는 24만원이지만 여기에 봉사료와 부가가치세가 각각 10%씩 붙으면 가격은 29만400원으로 껑충 뛴다. 이렇게 되면 가격경쟁력에서 밀릴 수밖에 없고 외국인 관광객은 상대적으로 저렴한 다른 나라를 선택할 수밖에 없다는 논리다. 남상만 한국관광협회중앙회장은 "관광호텔의 영세율 폐지로 인한 정부의 세수 증가는 1,000억원(약 8,800만달러)인 데 비해 이로 인해 줄어드는 관광객 수는 25만명으로 추산된다. 8,800만달러를 벌기 위해 2억5,000만달러(외국인 관광객 1인당 평균 지출액 1,000달러 기준)를 포기하는 것이며 나아가 8,000명의 고용효과를 놓치는 결과를 초래한다"고 강조했다. 문화체육관광부가 관광업계의 사정을 고려해 정부와 긴밀히 협의하고 있어 방문의 해 기간 중 영세율 부활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비자정책도 유연하게 적용해야 할 과제로 꼽힌다. 지난해 방한 외국인 관광객 780만명 가운데 일본인 관광객은 약 40%(300만명 이상)인 데 비해 중국인 관광객은 134만명으로 20%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다. 중국의 해외 여행객이 연간 5,000만명에 달하는데다 앞으로의 잠재력을 감안하면 중국시장 공략은 불가피한 전략이지만 까다로운 비자발급 절차로 중국인 관광객 증가는 정체 상태에 놓여 있다. 이에 따라 업계에서는 무비자 시행을 강력히 요구하고 있다. 김용진 코앤씨 한중여행사 대표는 "불법체류자 문제 등의 이유로 정부가 소극적인 태도를 취하고 있지만 중국시장의 잠재력을 평가한다면 제한적이고 한시적인 비자면제 조치라도 고려했으면 한다"고 말했다. 조현재 문화체육관광부 관광산업국장은 "한꺼번에 실시하기는 현실적으로 어렵지만 중국 정부와 단계적으로 무비자 제도를 시행하기로 합의한 상태로 현재 실무선에서 협의가 진행되고 있다"고 밝혔다. 중국과 무비자 협상이 이뤄지면 외국인 관광객 1,000만명 돌파에 가속도가 붙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밖에 ▦관광 저변 확대를 위한 국내 관광 활성화 ▦출입국 제도 개선 및 관광 교통 환경 선진화 ▦관광 숙박 시설의 혁신적 공급체계 구축 ▦편리한 쇼핑환경 구축 및 음식 서비스 개선 ▦관광 안전체계 구축 등이 방문의 해 기간 동안 풀어야 할 숙제로 남아 있다. 이참 한국관광공사 사장은 "과감한 투자로 관광 인프라를 확충하고 관광객 비자 간소화 등 제도를 개선해 세계인들이 한국을 평생 꼭 한번 가봐야 할 관광지로 선호하도록 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버선발 정신'으로 관광대국 도약] 기획·연재기사 전체보기 혼자 웃는 김대리~알고보니[2585+무선인터넷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