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본 문부과학성의 중학교 교과서검정 결과가 발표된 5일 국내 학자들은 교과서 왜곡 내용에 일본 정부의 입장이 반영돼 있다며 우리 정부와 민간의 강력한 대응을 촉구했다. 특히 일본 우익의 지원을 받는 후소샤 교과서 뿐 아니라 채택률이 70%에 달하는 검정교과서까지 독도문제를 더욱 노골적으로 왜곡한 점은 일본 정부의 입장과 맥락을 같이 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국내 학자들은 대책으로 일본내 민간단체와 연계, 독고와 교과서 문제의 분리 대처 등을 꼽았다. 신용하 한양대 석좌교수는 “고이즈미 총리를 비롯해 문부과학상ㆍ외무상등 일본 정부 고위층에 포진한 극우파 집단이 독도 영유권 주장과 역사왜곡을 사실상 주도하고 있으며 이는 우리 민족과 국가에 대한 본질적 도전”이라고 말했다. 최장근 서울대 국제대학원 연구원은 “독도가 일본 영토라는 주장이 교과서에 실린 것은 일본 정부가 우익 정치인과 극우단체를 동원했기 때문”이라며 “법적ㆍ역사적 타당성이 없는 일본 정부의 주장은 또다른 역사왜곡으로 확대될 것”이라고 비판했다. 일본 민간단체와 연대가 필요하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한철호 동국대 교수는 “교과서 왜곡 사태는 재무장을 통한 군사적 세력확대를 추구하는 일본 우익이 이를 이념적ㆍ학술적으로 정당화하려는 의도에서 나왔다”며 “내정간섭 운운하는 빌미를 주지 않도록 민간 차원의 불채택운동을 하는 것이 좋다”고 제안했다. 이장희 한국외국어대 교수는 “일본 주류사회가 미일동맹에 근거한 힘의 외교를 신뢰하고, 과거사에 대해 왜곡되고 부도덕한 시각을 견지하며 팽창주의ㆍ군국주의ㆍ국수주의의 길로 나아가고 있다”며 이를 저지하기 위해서는 소수파인 일본 내 양심세력과 연대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정부 차원에서는 한일관계를 종합적으로 고려해 면밀히 대응하되 국회나 시민단체는 망동에 즉각 대응해야 한다"고 말했다. 학자들은 독도 문제와 분리해 교과서 왜곡에 대처하자는 데 견해를 모았다. 진창수 세종연구소 일본센터장은 “독도는 영토문제라 양국이 타협할 수 있는 여지가 없고 국제여론 환기 등을 통해 싸워 나갈 문제인 반면 일본 내에도 논란이 많은 역사교과서 문제는 양심세력과 연대해 인식 격차를 좁힐 수 있다”며 분리대응을 제안했다. 안병우 한신대 국사학과 교수도 “독도 문제와 역사왜곡 문제를 연결해 거론하는 것은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