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핵실험에 따른 국제연합(UN)의 대북 제재 조치가 결정될 경우 북한산에 대부분 의존해온 국내 골재업계의 골재 조달이 큰 차질을 빚을 것으로 우려된다. 또 골재 파동이 발생할 경우 건설업계도 적지 않은 영향을 입지 않을까 관련업계가 노심초사하고 있다. 11일 골재협회 및 관련업계에 따르면 북한 남포와 해주 앞바다에서 북한에 돈을 주고 채취해 인천항 등지로 반입하는 북한산 모래는 수도권 레미콘 모래수요의 100%를 점유하고 있다. 골재업계는 북한산 모래의 비중이 적지 않은 만큼 달러 유입차단을 위해 북한산 모래 채취에 대한 금지조치가 내려지거나 대북제재에 반발한 북한이 모래채취를 거부하지나 않을까 우려하고 있다. 인천항만공사에 따르면 북한산 모래 채취 운반선들은 북한 해주 앞바다에서 배 한 척 당 5,000㎥의 모래를 채취하는 대가로 1,200달러의 입항료 및 채취료를 모두 현찰로 북한 당국에 내고 있으며 북한 해역을 드나드는 국내 선박은 일주일에 평균 25척에 이르고 있다. 모래채취 운반선들은 월간 100만㎥의 모래 가운데 이중 70~80%는 인천항으로 나머지는 평택항 또는 충남 당진항으로 반입하고 있다. 골재ㆍ건설 등 관련업계는 북한산 모래 반입이 중단될 경우 현재로서는 대책이 전무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국내 서해안에서 바닷모래 채취가 전면 금지된 2003년 이후 중국과 북한으로부터 모래 수입을 검토했으나 중국산 모래 수입에 드는 비용이 워낙 비싸 북한산 모래에만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중국산 모래를 수입하려면 1㎥당 2만원이 들지만 북한산은 절반인 1만1,000원이면 가능하다. 골재업계 관계자는 “북한이 모래를 전략적으로 이용 할 경우에 국내 건설업계는 위기 상황을 맞을 수밖에 없다”면서 “그동안 정부측에 수입선 다변화를 요구했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고 있다”고 어려움을 토로했다. 인천 유진레미콘 한 관계자는 특히 “현재 하루에 5,000㎥의 북한산 모래를 사용하고 있으나 대북제재안이 내려지고 모래반입이 중단될 경우 옹진이나 태안인근의 바닷모래 채취허가가 불가피하다”며 “배타적경제수역(EEZ)에서의 모래채취도 정부차원에서 강구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북한산 모래 반입은 서해안 바닷 모래 채취가 중단된 지난 2003년 이후부터 이어지고 있으며 올 상반기 동안 국내에 반입된 북한산 모래는 모두 478만㎥에 이르고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