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수호(오른쪽) 민주노총, 이용득 한국노총 위원장이 11일 국회에서 열린 노동부 국정감사에 증인으로 출석해 선서하고 있다. /오대근기자 |
|
양 노총 위원장이 11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국정감사장에 출두, 여야 의원 및
김대환 노동부 장관과 뜨거운 설전을 벌였다.
국회 환노위 소속 여야 의원들은 이날 국제노동기구(ILO) 아시아ㆍ태평양지역 총회 연기에 대해
이수호 민주노총 위원장과
이용득 한국노총 위원장을 증인으로 소환, 노동계 태도를 집중 질타했다.
신상진 한나라당 의원은 “노사정이 함께 ILO 총회를 유치해놓고 국내 상황을 빌미로 참석하지 않은 것은 판을 깨는 행동”이라며 “내년 초로 예상되는 ILO 총회에 참가하겠냐”며 따져 물었다. 이목희 열린우리당 의원은 “특정 인물의 사퇴를 내걸고 국제행사의 발목을 잡는 것은 거대 조직의 지도자로서 적절치 못한 행동 아니냐”며 꼬집었다.
이수호 위원장은 “ILO는 노사정 3자 합의로 운영되는 조직”이라고 전제한 뒤 “정부가 책임 있게 주도해나가야 하는데 소극적이고 형식적이었을 뿐 아니라 ILO 정신에 위배되는 일들이 벌어져 이런 관계에서는 안된다는 판단을 했다”고 반박했다.
이용득 위원장도 “양 노총의 총회 거부 움직임에 대해 정부가 면피용 행동으로 일관했다”며 “이 상태에서는 ILO 총회 개최에 대해 노(No)라고 말할 수밖에 없다”고 잘라 말했다.
제종길 열린우리당 의원은 “김 장관이 양 노총의 반발에도 불구하고 상황을 계속 낙관한 측면이 있다”며 김 장관에게 화살을 돌렸다. 김 장관은 “노동부 장관은 사용자와 근로자는 물론 전국민을 대상으로 노동행정을 편다”며 “국민의 3%를 대표하는 양 노총이 자신들의 이해관계를 위해 국민을 대표하는 장관을 퇴진하라는 것은 이미 사회적으로 폐기된 것”이라며 양 노총에 직격탄을 날렸다.
이용득 위원장은 “김 장관의 노동조합에 대한 공격적이고 부적절한 발언이 수없이 많아 도저히 노정관계를 유지할 수 없었다”며 정면으로 반박했다.
이수호 위원장은 “노정관계를 부부관계에 비유하는 이들이 많은데 현재 상황은 이혼 도장을 찍고 서로 집을 나가라고 요구하는 상황”이라며 노동부에 대한 강한 불신감을 드러냈다.
이에 대해 김 장관은 “지금 노동계가 요구하는 것은 지금보다 더 높은 수준으로 정의롭고 진보적이라고 인정해달라는 것”이라며 “제가 아니라 국민이 인정하지 않기 때문에 안된다”며 맞받아쳤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