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산 쇠고기 전면개방에 반대하는 촛불이 타오르는 사이 한국 경제는 수렁으로 빠져들고 있었다. 초고유가와 원자재가격 폭등으로 인한 고물가와 경기 둔화로 인해 고용시장은 빈사상태에 빠졌고 부동산과 주식 등 자산시장은 얼어붙었다. 시중 금리는 오름세를 탔고, 그동안 대출에 의존했던 중소기업은 갑자기 불어난 상환부담 때문에 힘들어 하고 있다. 하반기로 갈수록 한국경제는 악화되는 대내ㆍ대외조건에 맞서 힘든 싸움을 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부진한 내수를 대신해 경제를 지탱해왔던 수출도 예상보다 큰 폭으로 둔화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정부ㆍ여당이 추진하는 감세정책도 경제에 또다른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주식과 부동산 등 자산시장이 흔들리고 있다. 상반기 자산시장은 미국을 비롯한 세계 자산시장의 침체 등에 영향받아 불안한 움직임을 보였다. 투자심리 역시 얼어붙었다. 전국 아파트 거래는 3개월 연속 감소세를 보이고 송파ㆍ강남 등 버블세븐 지역을 중심으로 가격도 크게 떨어졌다. 수억원씩 싸게 나온 급매물도 팔리지 않는 상황에서 부동산시장은 사실상 ‘죽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는 실정이다. 증시도 외국 투자자들의 매물공세속에 코스피지수는 속절없이 무너졌다. 한국 증시는 올 상반기에만 20.7%의 낙폭을 보이며 자산가치 급감을 야기했다. 해외에 투자된 자산도 손실을 내기는 마찬가지다. 올들어 7월 현재까지 중국, 브릭스 등 해외 주식형펀드에서 날아간 순자산 규모는 무려 15조원 규모다. 하반기 자산시장 역시 불투명하다. 부동산 시장 회생의 관건은 정부가 쏟아내는 지방 미분양대책과 재건축 규제완화, 부동산 세제완화 등의 정책이 ‘약발’을 발휘할 지 여부에 달려 있다. 세제완화 등 일련의 정책이 부동산 시장에 숨을 불어넣을 수도 있지만, 일단 꺾인 부동산 경기를 되살리지 못한다면 집값 거품 붕괴로 치달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증시도 하반기 1,900선까지 반등할 것이라는 기대가 조심스럽게 제기되는 한편으로, 유가와 미국 서브프라임 사태 등의 변수에 따라 오히려 더 침체의 골이 깊어질 수도 있다는 비관적인 전망도 나오고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