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환위기 그후 10년] 100兆 넘는 부실채권 처리 ABS발행·회사채 신속인수제도…캠코 '특단방식' 총동원외국기업과 AMC 합작…자산관리 노하우 터득도 김민열기자 "IMF의 도움으로 국가파산은 간신히 면했지만 정작 그 순간부터 100조원이 넘는 부실채권에 눌려 한국경제가 신음하기 시작했다. 부실채권을 정리하지 않았다면 금융시장이 거덜났을 것이다."(정재룡 전 자산관리공사(캠코) 사장) 외환위기 다음해인 지난 98년 말까지 30대 국내 재벌 가운데 절반 이상이 도산위기에 몰리고 중소기업의 연쇄부도가 이어지면서 금융권의 고정이하 여신인 부실채권은 급증하기 시작했다. 금융기관의 부실자산이나 채권을 사들여 전문적으로 매각하는 '배드뱅크'가 필요했다. 그 역할은 97년 4월 공사 내에 '부실채권 전담기구'를 설치했던 캠코에 맡겨졌다. 정 사장은 "대규모 부실채권 정리가 시작됐지만 '신속히 가능한 높은 가격에 처분한다'는 식의 원칙을 정할 정도로 전문가나 조직이 없었다"고 회고했다. 캠코는 직접매각과 함께 부실채권의 효율적인 정리를 위해 자산을 성격별로 분류하고 모아 큰 단위로 일괄 매각하거나 특정기업 채권별로 개별 매각하는 방식을 총동원했다. 지금은 흔한 개념이지만 부실채권으로부터 현재 또는 미래에 발생하게 될 현금흐름을 기초로 증권을 발행하는 ABS 발행방식을 통해 부실채권을 정리해나갔다. 국내 최초의 부실채권을 담보로 한 자산유동화증권 발행은 99년 6월 3,007억원의 금융기관 환매조건부 특별채권이었다. 이를 담보로 발행한 선순위 만기 2, 3, 5, 7년 4종 2,950억원의 채권을 발행, 10년 만기 후순위 채권 250억원이 발행됐다. 캠코는 2003년 말까지 국내외에서 총 17차례에 걸쳐 ABS를 발행했으며 총 대상 자산은 일반 및 특별채권 8조4,000억원에 달했다. 2000년 7월 해외에서 발행된 자산유동화증권은 외화표시 특별채권을 담보로 한 것으로 아시아 국가 중 최초였다. 부동산의 경우 무조건 팔기보다는 자산가치를 높여 매각을 시도했다. 퇴출은행으로부터 인수한 은행 지점과 본점, 건물 등을 리모델링해 부가가치를 높여 비싼 값에 임대하거나 팔았고 테마빌딩으로 조성해 재분양한 것. 이 같은 부실채권 처리과정에서 외국 기업과 자산관리회사(AMC)를 합작 설립하는 노하우도 자연스럽게 터득하게 됐다. 당시 부실채권 입찰의 유일한 매입 주체였던 외국 투자자들은 우량자산만 찍어서 싸게 매입하는 이른바 '체리피킹' 경향을 보였다. 이들은 80년대 미국의 금융위기인 저축대부조합(S&L) 사태와 오일쇼크 때 부실채권 매입으로 엄청난 이익을 챙겼던 경험을 한국에도 그대로 적용하고 있었던 것이다. 외국 경쟁업체의 반발로 2002년부터 중단된 회사채 신속인수제도도 당시로서는 특단의 조치 가운데 하나였다. 회사채 신속인수제도란 회사채 만기가 집중적으로 도래해 유동성 위기에 처한 기업에 대해 80% 금액만큼 사모(私募)사채를 발행해 산업은행이 이를 인수(신속인수)하면 그 대금으로 회사채를 상환하는 방식이다. 산업은행은 인수한 채권 중 70%를 채권담보부증권(프라이머리 CBO)이나 대출채권담보부증권(CLO)으로 편입시켜 채권형 펀드 등에 매각하고 20%는 해당기업 채권은행에 인수시켜 10%만 보유함으로써 위험을 분산하게 된다. 단 회사채 신속인수 대상 기업들은 주채권은행과 자구이행계획약정을 체결하고 이를 이행하지 못할 경우 대주주 지분매각과 경영진 교체 등의 제재를 받게 된다. 2001년 도입된 회사채 신속인수제도를 통해 유동성 위기에 빠졌던 하이닉스는 기사회생하는 계기가 됐다. 입력시간 : 2007/01/22 16:22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