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들이 벌어들이는 소득은 제자리를 맴돌고 있는데 삶에 반드시 필요한 ‘생활비용’들은 줄줄이 오르고 있다. 세금 한파에 이어 콜금리 인상으로 대출이자가 빠르게 상승하고 여기에 각종 공공요금의 도미노 인상, 게다가 채소 값마저 급등하는 등 중산ㆍ서민층들이 다중고(苦)에 빠져드는 모습이다. 월평균 소득이 300만원 아래인 이들 계층의 소비자기대지수가 여전히 기준치(100)를 밑도는 등 경기회복의 기운을 느끼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어서 고달픔은 더욱 심해지게 됐다. 현대경제연구원이 12일 내놓은 ‘경제 주평’을 보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국민총소득(GNI) 증가율을 넘어서는 현상이 지난해 3ㆍ4분기 이후 4분기 연속 이어졌고 그 차이도 3%포인트에 이른다. 호주머니에 돈이 더 들어와도 오른 물가를 채우기 벅차다는 얘기다. 이런 터에 공공요금의 도미노식 인상 소식이 들려오고 있다. 건설교통부 등에 따르면 오는 11월1일부터 국적항공사의 국제선 항공운임이 최고 10% 오른다. 인천발 LA행 비즈니스석 운임은 441만1,900원에서 485만3,100원으로, 인천발 베이징행 이코노미석은 33만8,000원에서 35만3,000원으로 4.4%씩 인상된다. 유류할증료가 확대 시행되면서 미주ㆍ유럽ㆍ중동ㆍ대양주 등 장거리 노선의 경우 30달러였던 유류할증료가 52달러로, 아시아 단거리 노선은 15달러에서 25달러로 각각 상향 조정된다. 택시요금도 연내 인상이 예정돼 있다. 서울과 부산에 이어 인천ㆍ대전ㆍ광주 등도 요금인상안을 마련하고 구체적인 인상시기와 범위를 논의하고 있다. 고속도로 통행료 인상도 막을 수 없을 듯하다. 신공항고속도로, 천안~논산 고속도로 등 일부 민자도로가 상반기 4~5% 정도 올린 데 이어 도로공사도 건교부에 6% 인상을 요청했다. 철도요금도 지난 7월부터 요금신고제를 폐지하고 상한제를 도입, 현행보다 다소 상승할 전망이다. 철도사업자가 운임과 요금을 정부가 정한 상한선 아래에서만 결정하면 되는 탓이다. 콜금리 인상에 따라 대출금리도 상당폭 올라갈 것으로 보인다. 은행들은 대출자산 가운데 80% 이상을 시장금리인 양도성예금증서(CD) 등에 연동시키고 있는데 석달에 한번씩 금리를 조정하는 것을 감안하면 연내 최고 0.5%포인트 정도 올라갈 가능성이 크다. 은행들은 예금금리 인상에는 인색해도 대출금리는 큰 폭으로 올리는 습성이 있다. 이뿐만 아니다. 정부는 이미 부동산 보유세를 올려놓은데다 신용카드 공제와 같은 비과세ㆍ감면 혜택도 줄이겠다고 나선 터다. 여기에 담뱃값과 LNG 세율 등도 줄줄이 인상이 예정돼 있다. 중국산 김치의 납 함유 파동 이후 배추와 무 등 채소 값마저 급등, 다가오는 김장철이 반갑지 않다. 정부는 금리인상과 공공요금 인상이 중산ㆍ서민층에 부담이 가지 않도록 정책을 구사하겠다고 공언하고 있지만 한꺼번에 몰려오는 서민들의 고통을 쉽게 달래줄 수 있을 성싶지 않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