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은행들도 해외진출을 위한 현지 사무소 설치를 추진 중이다. 외환위기 이후 폐쇄된 지방은행 해외 사무소는 부산은행의 중국 청두 사무소를 시작으로 이르면 올 연말쯤부터 다시 만들어질 전망이다. 부산은행의 경우 이미 중국 청두 사무소 설립담당자를 선발해 실무적인 작업에 착수했다. 올해 안으로 중국 사무소 설립작업을 마무리한다는 목표로 금융감독원 협의와 재정경제부 신고수리 등의 절차를 밟아나갈 예정이다. 중국과 함께 베트남에도 현지 사무소를 마련한 후 중장기적으로는 현지법인으로 전환하겠다는 전략이다. 부산은행은 지난 75년 오사카, 78년 뉴욕, 96년 홍콩, 97년 호찌민 등 25년 동안 해외 사무소를 유지하다가 외환위기 이후 정부정책에 따라 철수했다. 지방은행이 해외진출에 적극 나서는 이유는 거래기업의 중국 진출이 크게 늘었고 중국과의 수출입 거래도 급증했기 때문이다. 대구은행도 중국 등 동남아시장 진출에 관심이 많다. 이화언 대구은행장은 이달 말 중국은행 초청으로 베이징ㆍ칭다오ㆍ상하이 등을 돌며 시장 파악에 나선다. 지난해 거래하는 기업 중 300여곳이 중국에 1,200건이 넘는 투자를 단행하는 등 해외거래가 크게 늘면서 해외업무도 확대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외환위기를 겪으면서 홍콩ㆍ뉴욕ㆍ도쿄 사무소를 폐쇄한 경험과 사무소 설립이 몇 차례 무산된 후 신중해졌다. 대구은행의 한 부행장은 “사무소 신규 설립과 현지은행과의 전략적 제휴 강화 방안을 놓고 검토 중”이라며 “해외진출을 한다면 중국이 1순위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경남ㆍ광주은행도 관계사인 우리은행을 적극 활용해 해외영업을 확대할 계획이다. 다만 전북은행은 해외진출보다 내실을 먼저 다지겠다는 입장이다. 김병연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지방은행들도 금융위기 이후 리스크에 대한 관리감독을 철저히 하는 만큼 해외 사무소 정도는 설치해서 신시장과 새로운 수익원을 찾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금감원의 한 관계자는 “접수가 이뤄지면 타당성 여부를 적극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