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부진한 수출을 만회하기 위해 중국 내수시장 공략을 내년 경제정책 방향의 핵심 목표 중 하나로 잡았다. 우선 무역보험공사 등을 통한 수출금융 지원 규모를 올해 251조원에서 내년에는 271조원으로 20조원 가량 늘린다. 중소기업의 수출 금융지원책인 해외 온렌딩도 1,000억원에서 1조원으로 10배 확대된다. 수출입은행·무역보험공사·코트라 등 수출지원 기관의 기능은 신시장, 유망품목 중심으로 바꾸고 원스톱 지원체계를 구축한다. 내년 6월에는 한류 소비재 수출 활성화 대책이 나온다. 화장품·식료품·유아용품·패션의류 등 중국시장에서 반응이 좋은 유망제품에 대한 맞춤형 지원책이 담긴다.
중국시장 개척은 직접진출과 간접진출의 ‘투 트랙’으로 진행된다. 우선 한·중 FTA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무역협회에 설치된 차이나데스크를 확대 개편해 신제품 판로 개척, 비관세장벽 애로 해소 창구로 활용한다. 중국 내수시장 공략을 위한 4조원 규모의 펀드는 기업투자촉진프로그램과 한국투자공사(KIC)를 활용하되, 자금 집행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투자처가 생기면 자금을 집행하는 캐피털 콜(capital call) 방식으로 운용한다.
중국 주도의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AIIB)를 지렛대로 삼아 해외 인프라 시장에 진출하는 간접진출 방안도 마련됐다.AIIB 활용을 위한 정부·기업·금융회사의 코리아 패키지를 가동하는 한편 총 8조원 수준의 글로벌-한국인프라투자플랫폼(KIIP)을 운영키로 했다. 대기업의 유통망을 활용해 유망 소비재의 대·중소기업 동반 진출도 추진한다.
/세종=김정곤기자 mckids@sed.co.kr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