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껄끄러운 노조와 갈등 피하자"
대우조선·현대重·삼성重 등 사무직 위주로 구조조정 진행
생산직과 달리 근무조건도 열악… '사무직 역차별' 지적까지 나와
대우조선해양은 이달 6일 생산직 직원 7,000여명에게 월급과는 별도로 100만원의 격려금을 지급했다. 지난 9월 노사 협상 결과에 따라 약속한 무재해 작업장 달성 축하금 및 조기 정상화 달성을 위한 격려금 명목이었다. 하지만 사무직은 한 푼도 받지 못했다. 대우조선해양은 지난달 20년 이상 근속한 직원 300여명을 대상으로 한 구조조정을 진행했다. 구조조정 대상은 사무직에만 한정했다. 대우조선해양 사무직 관계자는 "사무직도 회사 직원이고 생산직도 회사 직원인데 격려금은 물론 구조조정에서도 계속 차별받아 의욕을 잃는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실적 악화로 구조조정을 진행 중인 조선업계에서 사무직과 생산직 차별이 논란이 되고 있다. 생산직은 대부분 노동조합 가입자가 많고 구조조정이 어렵다 보니 비교적 해고가 쉬운 사무직이 대상이 되고 있다. 생산직과 달리 열악한 근무 조건까지 더해져 사무직이 역차별을 받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10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중공업이 올해 초 과장급 이상 직원 1,500여명에 대해 진행한 구조조정 대상은 사무직에만 한정됐었다. 특히 권오갑 사장이 연초 희망퇴직을 진행한 후 "더 이상의 추가 구조조정은 없을 것"을 천명한 상황이라 생산직에 대한 인력 조정은 없을 예정이다. 현대중공업은 지난해 임금체계를 성과급 중심으로 개편하는 과정에서도 과장급 이상 사무직에는 연봉제를 도입했다. 하지만 생산직에 대해서는 호봉제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삼성중공업 역시 지난달 사무직인 임원 10여명을 구조조정한 바 있다. 삼성중공업 관계자는 "상시 희망퇴직 방식이기 때문에 딱히 사무직만을 대상으로 하는 것은 아니다"고 설명했지만 업계에서는 "희망 퇴직자 대부분이 사무직"이라고 설명했다. 2013년 채권단과 자율협약을 통해 구조조정에 나섰던 STX조선해양도 사무직 위주로 구조조정을 단행한 바 있다.
조선업종의 구조조정 과정에서 사무직과 생산직이 차별받는 가장 큰 이유는 노동조합이다. 보통 과장급 이상부터는 노조 조합원이 아닌 경우가 많다. 이렇다 보니 사무직은 비노조원이 많다. 반면 생산직은 노조 조합원이 대부분이다. 회사 차원에서는 노조와 갈등을 겪을 수도 있는 생산직에 대한 구조조정보다는 당장 쉽게 손댈 수 있는 사무직부터 구조조정을 진행한다. 노조 역시 사무직이나 사무 기술직 등 비노조원의 구조조정에 대해서는 별다른 목소리를 내지 않는 경우가 많다. 한 업계 관계자는 "과거 수주 감소로 생산직 직원을 줄이려 했던 한진중공업이 '희망버스' 등 연쇄 시위로 회사가 존폐의 기로에까지 선 것을 기억하고 있는 조선업체들은 노조와 갈등하지 않으려고 한다"고 말했다.
조선 불황에도 회사가 정상화되기 위해서는 수주한 물량을 처리해야 한다는 점도 생산직보다 사무직을 차별하는 이유다. 대우조선해양 관계자는 "회사가 어려운 상황이지만 수주한 물량을 계속 처리해야 하기에 생산직에 대해서는 별도의 구조조정은 진행하지 않는 것"이라고 말했다.
회계상 사무직의 임금은 판매관리비로 집계되는 반면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직의 임금은 매출로 잡히는 점도 이유다. 기업 입장에서는 비용 절감이 필요할 경우 판매관리비부터 손을 댄다. 한 업계 관계자는 "조선업 등 회사가 청산했을 때 사무직이 생산직보다 임금 정산 순위가 뒤인 이유도 이런 이유"라고 말했다.
조선업 불황이 장기간 이어지고 있지만 생산직 숫자는 큰 변화가 없다. 일부 정년퇴직 직원을 대신해 임직원 자녀 우선 채용 조항으로 고용 세습을 이어가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반면 사무직은 경기에 따라 인력이 최대 20~30%씩 움직인다.
조선 업종의 사무직에 대한 차별은 구조조정뿐만 아니라 근무 조건 등에서도 나타난다. 한 조선업체에 근무하는 사무직 직원은 "연·월차 강제 사용은 물론 시간 외 근무나 야근을 관련 수당 없이 진행하는 등 근무 환경이 매우 열악한 편"이라며 "비노조원이다 보니 이런 상황을 보호받지 못하는 게 현실이지만 이직을 하려 해도 동종업계가 불황이라 인원을 감축하고 있어 이마저도 힘들다"고 말했다.
/강도원기자 theone@sed.co.kr
대우조선·현대重·삼성重 등 사무직 위주로 구조조정 진행
생산직과 달리 근무조건도 열악… '사무직 역차별' 지적까지 나와
대우조선해양은 이달 6일 생산직 직원 7,000여명에게 월급과는 별도로 100만원의 격려금을 지급했다. 지난 9월 노사 협상 결과에 따라 약속한 무재해 작업장 달성 축하금 및 조기 정상화 달성을 위한 격려금 명목이었다. 하지만 사무직은 한 푼도 받지 못했다. 대우조선해양은 지난달 20년 이상 근속한 직원 300여명을 대상으로 한 구조조정을 진행했다. 구조조정 대상은 사무직에만 한정했다. 대우조선해양 사무직 관계자는 "사무직도 회사 직원이고 생산직도 회사 직원인데 격려금은 물론 구조조정에서도 계속 차별받아 의욕을 잃는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실적 악화로 구조조정을 진행 중인 조선업계에서 사무직과 생산직 차별이 논란이 되고 있다. 생산직은 대부분 노동조합 가입자가 많고 구조조정이 어렵다 보니 비교적 해고가 쉬운 사무직이 대상이 되고 있다. 생산직과 달리 열악한 근무 조건까지 더해져 사무직이 역차별을 받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10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중공업이 올해 초 과장급 이상 직원 1,500여명에 대해 진행한 구조조정 대상은 사무직에만 한정됐었다. 특히 권오갑 사장이 연초 희망퇴직을 진행한 후 "더 이상의 추가 구조조정은 없을 것"을 천명한 상황이라 생산직에 대한 인력 조정은 없을 예정이다. 현대중공업은 지난해 임금체계를 성과급 중심으로 개편하는 과정에서도 과장급 이상 사무직에는 연봉제를 도입했다. 하지만 생산직에 대해서는 호봉제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삼성중공업 역시 지난달 사무직인 임원 10여명을 구조조정한 바 있다. 삼성중공업 관계자는 "상시 희망퇴직 방식이기 때문에 딱히 사무직만을 대상으로 하는 것은 아니다"고 설명했지만 업계에서는 "희망 퇴직자 대부분이 사무직"이라고 설명했다. 2013년 채권단과 자율협약을 통해 구조조정에 나섰던 STX조선해양도 사무직 위주로 구조조정을 단행한 바 있다.
조선업종의 구조조정 과정에서 사무직과 생산직이 차별받는 가장 큰 이유는 노동조합이다. 보통 과장급 이상부터는 노조 조합원이 아닌 경우가 많다. 이렇다 보니 사무직은 비노조원이 많다. 반면 생산직은 노조 조합원이 대부분이다. 회사 차원에서는 노조와 갈등을 겪을 수도 있는 생산직에 대한 구조조정보다는 당장 쉽게 손댈 수 있는 사무직부터 구조조정을 진행한다. 노조 역시 사무직이나 사무 기술직 등 비노조원의 구조조정에 대해서는 별다른 목소리를 내지 않는 경우가 많다. 한 업계 관계자는 "과거 수주 감소로 생산직 직원을 줄이려 했던 한진중공업이 '희망버스' 등 연쇄 시위로 회사가 존폐의 기로에까지 선 것을 기억하고 있는 조선업체들은 노조와 갈등하지 않으려고 한다"고 말했다.
조선 불황에도 회사가 정상화되기 위해서는 수주한 물량을 처리해야 한다는 점도 생산직보다 사무직을 차별하는 이유다. 대우조선해양 관계자는 "회사가 어려운 상황이지만 수주한 물량을 계속 처리해야 하기에 생산직에 대해서는 별도의 구조조정은 진행하지 않는 것"이라고 말했다.
회계상 사무직의 임금은 판매관리비로 집계되는 반면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직의 임금은 매출로 잡히는 점도 이유다. 기업 입장에서는 비용 절감이 필요할 경우 판매관리비부터 손을 댄다. 한 업계 관계자는 "조선업 등 회사가 청산했을 때 사무직이 생산직보다 임금 정산 순위가 뒤인 이유도 이런 이유"라고 말했다.
조선업 불황이 장기간 이어지고 있지만 생산직 숫자는 큰 변화가 없다. 일부 정년퇴직 직원을 대신해 임직원 자녀 우선 채용 조항으로 고용 세습을 이어가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반면 사무직은 경기에 따라 인력이 최대 20~30%씩 움직인다.
조선 업종의 사무직에 대한 차별은 구조조정뿐만 아니라 근무 조건 등에서도 나타난다. 한 조선업체에 근무하는 사무직 직원은 "연·월차 강제 사용은 물론 시간 외 근무나 야근을 관련 수당 없이 진행하는 등 근무 환경이 매우 열악한 편"이라며 "비노조원이다 보니 이런 상황을 보호받지 못하는 게 현실이지만 이직을 하려 해도 동종업계가 불황이라 인원을 감축하고 있어 이마저도 힘들다"고 말했다.
/강도원기자 theone@sed.co.kr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