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산업의 취업유발계수가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 보다 나빠진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양질의 일자리를 만들어내는 제조업의 경우 취업유발계수가 금융위기 이전에 비해 2.5명이나 줄어 들었다.
현대경제연구원이 25일일 내놓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산업별 일자리 창출력 변화와 시사점’ 보고서를 보면 2013년 10억원 당 취업유발계수는 13.1명으로 2005년(16.3명)보다 3.2명이 준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글로벌 금융위기로 산업의 고용창출 능력이 극도로 악화했던 2009년 13.8명보다도 낮은 수준이다. 고용유발계수는 같은 기간 10.1명에서 8.8명으로 떨어졌다.
취업유발계수란 10억원의 수요에 해당하는 상품을 생산하기 위해 필요한 직접적인 노동력과 간접적으로 유발되는 취업인원을 합한 숫자로, 자영업자와 임금 근로자를 모두 포함한다. 고용유발계수는 자영업자를 제외한 임금근로자만 계산한 수치다.
특히 제조업의 하락세가 두드러졌다. 금융위기 이전인 2005~2008년 11.3명이었던 제조업의 취업유발계수는 2010~2013년 8.8명으로 낮아졌다. 서비스업은 18.7명에서 18.1명으로, 건설업은 9.8명에서 9.5명으로 상대적으로 적은 하락폭을 보였다.
고용유발계수는 금융위기를 전후로 제조업과 건설업에선 하락했지만, 서비스업에서는 소폭 증가했다. 금융위기 이전 8.2명이었던 제조업의 고용유발계수는 6.0명으로, 건설업은 8.6명에서 7.0명으로 줄었다.
문제는 자동차 부문이나 서비스업 등 성장세에 있는 산업군에서 일자리는 늘었지만, 전체 산업의 일자리 창출 효율성은 떨어졌다는 점이다. 최성근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일자리가 늘고 있지만 특정 산업으로의 편중 현상이 일어나고 있는 데다 일자리 창출 효율성을 되레 떨어지고 있다”며 “고용 창출력이 약해진 부문과 효율성이 약화한 부문에 대한 개선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상훈기자 ksh25th@sed.co.kr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