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우리은행의 성공적인 민영화를 위해 분납 방식의 국민주 매각도 고려해볼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김우진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6일 연구원이 발행하는 주간금융브리프에 게재한 보고서를 통해 "공적자금관리위원회 및 매각소위가 어떤 매각 전략을 마련할지 예상하기 어렵지만 조기 민영화에 방점을 둔다면 유효 수요 확대가 가능한 매각 구조를 마련해야 할 것"이라며 "기존의 과점주주 매각 방식 이외에도 국민주 방식을 새롭게 조명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국민주는 정부나 정부투자기관이 보유한 주식을 국민 다수에게 매각하는 방식이다. 매각 가격이 낮아지고 경영권 프리미엄 확보가 어려워 공적자금 회수 극대화 원칙과는 어긋난다. 하지만 많은 지분을 동시에 처분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유효 수요를 충분히 창출해 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김 연구위원은 "정부가 그동안 우리은행 민영화를 위해 최선을 다했으나 아직 예금보험공사가 지분 51%를 보유한 최대주주이고 주가순자산비율(PBR)도 올해 6월 기준 36%로 저평가되는 등 우리은행 주식에 대한 시장 수요는 저조한 상황"이라고 현 상황을 평가했다.
더불어 김 연구위원은 호주·영국·뉴질랜드·캐나다 등의 국가가 민영화에 활용한 '주금 분할 납입' 매각구조를 참고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매각 시점에 매각대금을 확정하되 매각대금 일부를 나중에 낼 수 있게 함으로써 투자자의 부담을 줄이는 방식이다./박윤선기자 sepys@sed.co.kr
김우진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6일 연구원이 발행하는 주간금융브리프에 게재한 보고서를 통해 "공적자금관리위원회 및 매각소위가 어떤 매각 전략을 마련할지 예상하기 어렵지만 조기 민영화에 방점을 둔다면 유효 수요 확대가 가능한 매각 구조를 마련해야 할 것"이라며 "기존의 과점주주 매각 방식 이외에도 국민주 방식을 새롭게 조명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국민주는 정부나 정부투자기관이 보유한 주식을 국민 다수에게 매각하는 방식이다. 매각 가격이 낮아지고 경영권 프리미엄 확보가 어려워 공적자금 회수 극대화 원칙과는 어긋난다. 하지만 많은 지분을 동시에 처분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유효 수요를 충분히 창출해 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김 연구위원은 "정부가 그동안 우리은행 민영화를 위해 최선을 다했으나 아직 예금보험공사가 지분 51%를 보유한 최대주주이고 주가순자산비율(PBR)도 올해 6월 기준 36%로 저평가되는 등 우리은행 주식에 대한 시장 수요는 저조한 상황"이라고 현 상황을 평가했다.
더불어 김 연구위원은 호주·영국·뉴질랜드·캐나다 등의 국가가 민영화에 활용한 '주금 분할 납입' 매각구조를 참고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매각 시점에 매각대금을 확정하되 매각대금 일부를 나중에 낼 수 있게 함으로써 투자자의 부담을 줄이는 방식이다./박윤선기자 sepys@sed.co.kr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