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감독원이 대우조선해양의 분식회계 의혹을 밝혀낼 회계감리에 착수할지에 대한 본격적인 검토 절차에 들어간다.
15일 금융계에 따르면 금감원은 이번 주 산업은행으로부터 대우조선해양 실사결과에 대한 최종 보고서를 정식으로 전달받을 예정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실사 보고서를 검토한 뒤 회계감리 착수 여부를 결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금융권에서는 대우조선해양에 4조2,000억원의 막대한 혈세가 투입된 만큼 '회계 절벽' 발생 과정에서 고의적 분식회계가 있었는지를 가려내는 회계감리를 하는 것이 불가피할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대우조선은 지난해 4,710억원의 흑자를 냈다고 장부에 기록했다. 하지만 올 5월 새로 취임한 정성립 사장이 전 경영진 시절의 부실을 한꺼번에 털어내면서 상반기에만 3조2,000억원의 영업손실이 인식되는 '회계 절벽' 사태가 초래됐다.
산업은행이 삼정회계법인에 준 실사 용역 결과에 따르면 올해 대우조선해양의 전체 영업손실액은 무려 5조2,950억원, 세전 순손실 규모는 6조6,000억원대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하반기 이후 추가 부실 가능성을 점검한 실사결과 보고서를 살펴보면 다수의 선박 프로젝트에서 '자산'으로 인식되는 미청구 공사액이 줄어드는 대신 '부채'로 집계되는 초과 청구공사 대금이 늘면서 손실규모를 키운 것으로 드러났다.
다만 금감원의 회계감리가 책임자를 가려내 처벌하는 단계로까지 이어질지에 대해선 전망이 엇갈리고 있다. 다년간에 걸쳐 진행되는 선박과 해양 플랜트 프로젝트의 특성상 유가와 환율, 선주의 설계 변경 요구 등 수익률에 영향을 끼칠 변수가 많은 만큼 손해를 어떻게 장부에 반영해야 하는지를 놓고 논란의 여지가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대우조선해양은 조선업의 특성과 관행에 따라 회계장부를 작성했다고 해명할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금감원이 고의성과 위법성을 명확히 밝혀내기가 만만치 않을 것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금융권 일각에서는 금융당국이 대우조선해양에 4조원대 자금을 지원하기로 하고 시중 은행에 여신회수 자제를 요청한 상황인 만큼 분식회계 의혹에 대해서는 여유를 두고 조사 착수 여부 등을 결정할 것이라는 관측도 제기되고 있다.
/지민구기자 mingu@sed.co.kr
15일 금융계에 따르면 금감원은 이번 주 산업은행으로부터 대우조선해양 실사결과에 대한 최종 보고서를 정식으로 전달받을 예정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실사 보고서를 검토한 뒤 회계감리 착수 여부를 결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금융권에서는 대우조선해양에 4조2,000억원의 막대한 혈세가 투입된 만큼 '회계 절벽' 발생 과정에서 고의적 분식회계가 있었는지를 가려내는 회계감리를 하는 것이 불가피할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대우조선은 지난해 4,710억원의 흑자를 냈다고 장부에 기록했다. 하지만 올 5월 새로 취임한 정성립 사장이 전 경영진 시절의 부실을 한꺼번에 털어내면서 상반기에만 3조2,000억원의 영업손실이 인식되는 '회계 절벽' 사태가 초래됐다.
산업은행이 삼정회계법인에 준 실사 용역 결과에 따르면 올해 대우조선해양의 전체 영업손실액은 무려 5조2,950억원, 세전 순손실 규모는 6조6,000억원대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하반기 이후 추가 부실 가능성을 점검한 실사결과 보고서를 살펴보면 다수의 선박 프로젝트에서 '자산'으로 인식되는 미청구 공사액이 줄어드는 대신 '부채'로 집계되는 초과 청구공사 대금이 늘면서 손실규모를 키운 것으로 드러났다.
다만 금감원의 회계감리가 책임자를 가려내 처벌하는 단계로까지 이어질지에 대해선 전망이 엇갈리고 있다. 다년간에 걸쳐 진행되는 선박과 해양 플랜트 프로젝트의 특성상 유가와 환율, 선주의 설계 변경 요구 등 수익률에 영향을 끼칠 변수가 많은 만큼 손해를 어떻게 장부에 반영해야 하는지를 놓고 논란의 여지가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대우조선해양은 조선업의 특성과 관행에 따라 회계장부를 작성했다고 해명할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금감원이 고의성과 위법성을 명확히 밝혀내기가 만만치 않을 것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금융권 일각에서는 금융당국이 대우조선해양에 4조원대 자금을 지원하기로 하고 시중 은행에 여신회수 자제를 요청한 상황인 만큼 분식회계 의혹에 대해서는 여유를 두고 조사 착수 여부 등을 결정할 것이라는 관측도 제기되고 있다.
/지민구기자 mingu@sed.co.kr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