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지난해 5,000명 정도에 머물던 청년 해외 취업자수를 국가별·직종별로 차별화된 전략을 세워 내후년에는 1만명까지 늘리기로 했습니다.
고용노동부와 기획재정부는 오늘 정부 서울청사에서 열린 대외경제장관회의에서 이같은 내용의 청년 해외취업 촉진 대책을 확정해 발표했습니다.
정부는 청년들의 취업 진출이 유망한 15개국을 선정해 국가별·직종별 맞춤형 전략을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우선 미국, 일본 등 선진국 시장을 겨냥해선 인력수요가 많고 진출이 상대적으로 쉬운 정보기술 직종 등을 중심으로 해외 취업을 준비할 수 있는, 이른바 ‘청해진 대학’을 개설하기로 했습니다.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 동남아시아 신흥국에선 현지 진출 한국기업의 중간관리자로 취업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정부는 비자 발급 요건을 완화하는 등 해외 취업 장벽을 낮추고, 올해 개통한 해외취업 알선 정보망인 월드잡플러스를 통해 물가, 집값 등 생활정보를 쉽게 찾아볼 수 있도록 할 방침입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