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직업병 가족대책위원회가 백혈병 같은 직업병 문제 해결을 위한 보상 절차를 조속히 마무리해달라고 촉구했다.
가대위는 15일 직업병 문제 해결을 위한 조정위원회 구성 1주년을 맞아 발표한 입장문에서 "조정위가 지난해 11월14일 구성된 지 1년이 지났고 조정위 권고안을 기초로 보상과 사과 문제가 빠르게 해결되고 있다"며 "8년간 끌어온 문제가 풀려가고 있는데도 해결을 반대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고 밝혔다.
가대위는 반올림(반도체 노동자의 건강과 인권지킴이)을 겨냥해 "보상이 잘 진행되고 있는데 반올림은 오히려 보상위원회를 해체하고 보상 절차를 중단하라며 억지를 부리고 있다"며 "보상위는 우리 가족위도 동의한 기구이며 변호사를 참여시켜 피해자들의 입장이 반영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가대위는 이어 "앞으로도 우리는 가족과 피해자의 입장에서 풀어나갈 것"이라며 "조정위는 불필요한 논쟁이 더 이상 연장되지 않고 조속히 마무리될 수 있도록 노력해주기를 희망한다"고 했다.
가대위에 따르면 연말까지 80명이 직업병과 관련해 보상을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김영필기자 susopa@sed.co.kr
가대위는 15일 직업병 문제 해결을 위한 조정위원회 구성 1주년을 맞아 발표한 입장문에서 "조정위가 지난해 11월14일 구성된 지 1년이 지났고 조정위 권고안을 기초로 보상과 사과 문제가 빠르게 해결되고 있다"며 "8년간 끌어온 문제가 풀려가고 있는데도 해결을 반대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고 밝혔다.
가대위는 반올림(반도체 노동자의 건강과 인권지킴이)을 겨냥해 "보상이 잘 진행되고 있는데 반올림은 오히려 보상위원회를 해체하고 보상 절차를 중단하라며 억지를 부리고 있다"며 "보상위는 우리 가족위도 동의한 기구이며 변호사를 참여시켜 피해자들의 입장이 반영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가대위는 이어 "앞으로도 우리는 가족과 피해자의 입장에서 풀어나갈 것"이라며 "조정위는 불필요한 논쟁이 더 이상 연장되지 않고 조속히 마무리될 수 있도록 노력해주기를 희망한다"고 했다.
가대위에 따르면 연말까지 80명이 직업병과 관련해 보상을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김영필기자 susopa@sed.co.kr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