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직혁신 태스크포스를 통해 동반성장위원회와 대중소기업협력재단 이원화를 추진하도록 하겠습니다."
안충영(사진) 동반성장위원장은 17일 서울 구로동 롯데시티호텔에서 열린 동반성장위원회 5주년 출범 기념식에서 "출범 이후 일부 임원들이 불미스런 일에 휘말려 중도 퇴임하는 일을 겪었던 만큼 조직의 신뢰도와 도덕성을 회복하는 방안을 강구할 것"이라며 "이를 위해 조직혁신 태스크포스를 구성했으며 대·중소기업협력재단은 중소기업 기술지원과 해외 진출 등 사업부문 업무에만 집중하고 동반성장 문제는 위원회에 전담하도록 업무를 분리하겠다"고 밝혔다.
최근 동반위는 동반위와 대중소기업협력재단 사무총장을 맡았던 인사가 비위 논란으로 사임해 조직 신뢰도에 큰 타격을 입었었다. 이에 따라 동반위는 조직 쇄신 방안을 강구했으며 동반위와 대중소기업협력재단 업무 분담 카드를 꺼내 든 것이다. 동반위가 동반성장의 목표를 제시하면 재단은 이를 위한 구체적 업무에 치중해 유기적으로 시너지를 낼 수 있도록 개선한다는 게 안 위원장의 구상이다. 앞으로 재단의 업무는 서울지방중기청장을 지낸 김형호 신임 사무총장이 맡고 동반위는 운영국장을 새로 영입할 예정이다. 동반위 운영국장은 외부 공모를 통해 내년 초에 선임할 계획이다.
안 위원장은 "도덕성과 신뢰가 없으면 민간자율 합의기구로써 중재를 원활히 하기 어렵다"며 "이에 조직혁신 태스크포스를 구성했으며 이를 바탕으로 적극적인 조직 쇄신에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내년에는 대·중소기업의 해외 동반 진출에 역점을 두겠다"며 "중소기업의 15%만 해외 진출을 하고 있고 85%는 내수에 치중하는 상황인데 대기업의 네트워크를 활용해 중소기업이 해외진출을 도모할 수 있는 방법을 더욱 고민하겠다"고 밝혔다.
안 위원장은 이날 적합업종 법제화에 대해서는 반대 의사를 표시했다. 동반위에서 합의한 중기 적합업종은 법적 구속력이 없다. 이에 야당과 일부 시민단체는 적합업종 법제화를 적극 주장하고 있다. 이와 관련 안 위원장은 "법제화가 된다면 자유무역협정에 위반돼 국제적으로 논란의 대상이 될 것"이라며 "원래 취지대로 자율 협약으로 정하는 게 맞다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 /한동훈기자 hooni@sed.co.kr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