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경제제재가 해제된 이란으로 가는 항공 직항 노선이 40년 만에 신설된다. 9일 국토교통부 및 항공업계에 따르면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은 국토부에 이란 국제항공운수권 배분을 신청했다. 아시아나항공은 주 4회, 여객기와 화물기를 모두 운항할 수 있는 객화 운수권 배분을 신청했다. 대한항공은 구체적인 내용을 밝히지 않았다. 국토부는 11일 운수권배분심의위원회를 열고 운수권을 배분할 예정이다. 국토부가 이란 노선에 대해 경쟁 체제로 운영하겠다는 방침을 세운 것으로 알려지면서 두 항공사 모두 노선을 배분 받을 전망이다.
한국과 이란 직항 노선은 지난 1976년 대한항공 화물기가 부정기편으로 운항한 바 있다. 이후 한국과 이란은 1998년 항공협정을 통해 주 4회까지 양국간 항공기를 운항할 수 있도록 합의했지만 실제로 국적기가 이란 직항 노선을 운항한 적은 없다.
정부는 경제제재 해제 이후 여객·화물 등 이란 항공 수요가 크게 늘 것으로 보고 4회인 운수권을 7회로 늘리기 위해 이란과 항공협정을 개정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국토부는 현재 주4회 짜리 운수권을 주 7회까지 늘리기 위해 항공협정을 개정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란 직항 노선이 생기면 아랍에미레이트, 이집트 등을 거쳐 16~20시간 소요되던 시간이 10시간 정도로 줄 전망이다.
/강도원기자 theone@sed.co.kr
한국과 이란 직항 노선은 지난 1976년 대한항공 화물기가 부정기편으로 운항한 바 있다. 이후 한국과 이란은 1998년 항공협정을 통해 주 4회까지 양국간 항공기를 운항할 수 있도록 합의했지만 실제로 국적기가 이란 직항 노선을 운항한 적은 없다.
정부는 경제제재 해제 이후 여객·화물 등 이란 항공 수요가 크게 늘 것으로 보고 4회인 운수권을 7회로 늘리기 위해 이란과 항공협정을 개정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국토부는 현재 주4회 짜리 운수권을 주 7회까지 늘리기 위해 항공협정을 개정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란 직항 노선이 생기면 아랍에미레이트, 이집트 등을 거쳐 16~20시간 소요되던 시간이 10시간 정도로 줄 전망이다.
/강도원기자 theone@sed.co.kr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