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수산부는 23일 인천항 컨테이너 기능조정 및 활성화 방안을 발표했다. 인천항의 컨테이너 화물 처리는 내항 4선석, 남항 7선석으로 나뉘어 있고 여객 수송도 연안부두와 내항에서 이원적으로 이뤄지고 있다. 송도국제도시에는 인 천 신항이 단계적으로 건설되고 있다.
인천 신항의 1단계 컨테이너 부두는 모두 6선석이다. 선광 터미널(3선석)이 작년 6월 먼저 문을 열었고 이달 18일 한진 인천 컨테이너터미널(3선석)이 운영을 시작했다. 현재 부분적으로 운영되고 있으나 2017년 11월이면 6선석이 모두 가동한다.
해수부는 내항의 컨테이너 처리 기능을 신항으로 이전하기로 했다. 대형 선박을 수용할 수 있고 첨단 하역장비를 갖춘 신항을 중심으로 인천항의 컨테이너 처리기능을 강화하겠다는 전략이다. 내항의 한진 부두는 다음 달에 신항 터미널로 기능을 넘기고 대한통운 부두는 계약이 종료되는 2018년 4월까지만 운영하고 일반화물 처리 부두로 기능을 전환 한다. 신항 컨테이너 부두 개장으로 인한 운영사들의 과당 경쟁을 막기 위해 컨테이너 하역료 신고제 준수 여부를 주기적으로 점검하기로 했다.
해수부는 또 신항 컨테이너 부두가 본격 가동됨에 따라 2018년 5월 공급하기로 한 배후단지 1단계 1구역을 2018년 초로 앞당겨 공급하기로 했다. 신항 배후부지는 진출입 항로의 수심을 늘리는 작업에서 파낸 준설토를 매립해 조성한다. 1구역에는 액화천연가스(LNG) 냉열(-162도)을 활용한 냉동·냉장 클러스터를 만든다. 23만 1,000㎡(7만평) 규모의 냉열 공급시설과 물류센터를 2018년 12월까지 건설하고 입주기업도 올해 12월까지 선정한다. 냉동·냉장 클러스트는 신항 인근 LNG기지에서 발생하는 초저온 냉열 에너지를 공급받아 전기냉각식 대비 전기료를 52∼68% 절감하고 냉동설비투자비도 25% 절감할 수 있다.
1구역 나머지 부지에는 한중 자유무역협정(FTA)와 전자상거래 활성화를 반영한 맞춤형 특화품목을 발굴해 관련 기업을 유치할 계획이다. 신항 배후시설 부족을 해소하기 위해 올해 12월까지 소량 화물 전용 보세창고를 건립하고 신항 관리부두 내 화물차 주차장 및 휴게소를 조성하기로 했다.
한편 신국제여객부두가 2019년 5월 개장하면 연안부두와 내항에서 나눠서 처리하던 카페리 화물 물량도 한곳으로 모인다. 해수부는 임대료 체계 등을 포함한 신국제여객부두 운영방안을 2017년 6월까지 마련하기로 했다.
윤학배 해수부 차관은 “발표된 대책들을 차질없이 추진해 2020년에는 인천항을 300만TEU 이상 컨테이너를 처리하는 항만으로 성장시키겠다”며 “올해 하반기에 인천항의 전반적인 기능 재배치 방안을 내놓을 예정”이라고 밝혔다.
/구경우기자 bluesquare@sed.co.kr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