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은행은 제조업 위주 지원 관행에서 벗어나 서비스업과 융합산업 등 신성장 기업 지원에 나선다.
산은은 26일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본점에서 기업은행·수출입은행·신용보증기금·신용정보원 등 9개 기관이 참여하는 ‘신성장 정책금융협의회 및 센터’ 출범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정책금융협의회는 정책금융기관이 앞장서 미래 주력 산업을 발굴하고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신성장 분야에 있어 정책금융의 적재적소 지원이 미흡하고 제조업 위주로만 지원해 서비스업과 융합산업은 소외됐다는 지적을 반영해 마련된 것이다. 주요 지원 대상 업종은 정보기술(IT), 바이오, 스마트물류, 문화콘텐츠, 관광이 될 것으로 보인다.
금융위원회도 지난 3월 창조경제와 문화융성 등 미래 신성장 산업에 대해 올해 안에 정책금융 80조원 이상을 지원하기로 밝힌 바 있다.
협의회는 또 개별 정책금융기관이 지원 대상 기업 선정에 활용할 ‘공동 신성장 선정기준’을 마련했다. 특히 제조업과 서비스업·융합산업 간 지원 격차가 해소될 수 있도록 자금 집행 관행도 개선된다. 무형자산 비중이 높은 신성장 산업에 운영자금 지원이 확대될 수 있도록 개선하고 신성장 특화 상품을 적극 개발할 방침이다.
류희경 산은 수석부행장은 “최근 중후장대 주력 산업의 경쟁력이 약화됐음에도 이를 대체할 신산업 발굴은 지연되고 있다”면서 “협의회를 통해 정책금융기관들이 유기적으로 협력해 실효성 있게 신성장 산업 지원을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손병두 금융위 금융정책국장도 “9개 정책금융기관들의 협업으로 구성된 정책금융협의회와 정책금융센터가 신성장 산업 지원 체계 개선을 주도적으로 추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보리기자 boris@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