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르메스, 루이비통, 까르티에의 공통점으로 세계 최고의 명품 브랜드라는 사실 외에 ‘현대미술에 대한 열정’을 꼽을 수 있다. 파리에 위치한 ‘루이비통 재단 미술관’은 건축가 프랭크 게리가 디자인 한 건물 자체가 예술품이 된 명소이고, 장 누벨이 유리 건축물로 설계한 ‘카르티에 재단 현대미술관’은 명품의 고리타분한 벽을 허물고 누구나 미술을 관람할 수 있게 했다. 에르메스는 2000년 한국에서 제정된 ‘에르메스재단 미술상’을 통해 한국 현대미술을 견인하는 데 기여했다.
프랑스 패션브랜드 ‘루이까또즈’로 유명한 태진인터내셔널(회장 전용준)이 이에 가세했다. 태진문화재단이 2년 여 공사 끝에 서울 강남구 언주로에 ‘플랫폼-엘(L) 컨템포러리 아트센터’를 완공하고 12일 현대미술가 배영환과 양푸동의 개인전을 개관전시로 본격 행보를 시작한다. 연면적 2,180㎡ 규모의 건물은 투명한 느낌의 수평선이 반복적으로 쌓여 밤에 더 빛나는 길쭉한 마름모 형태다. 건축사무소 ‘조호’의 이정훈 소장이 설계했다.
개관전 작가 배영환은 ‘새들의 나라’라는 제목으로 2,3층에서 개인전을 연다. 막스 베버가 자본주의 사회의 인간을 새장에 갇힌 새에 비유했듯 배영환의 새는 현대인의 삶과 욕망이 투영된 은유적 존재이자 통제와 감시의 대상으로 전락한 우리네 자화상이다. 눈을 가린 거대한 앵무새 모양의 ‘말,생각,뜻’, 주사위를 마구 굴려 메주처럼 뭉개진 듯한 ‘사각 지구본’ 등 신작들에서 인류와 시대에 대한 걱정이 읽힌다. 중국현대미술을 대표하는 양푸동은 지하 1층의 다목적 공간인 플랫폼라이브에서 1935년작 동명의 중국 무성영화를 오마주 한 ‘천색:신여성Ⅱ’을 선보였다. 각각의 스크린에서 12분짜리 영상 5편이 상영되는 것을 눕거나 앉아서 관람할 수 있다. 인공적으로 조성된 세트장에서 부자연스럽게 움직이는 여성들의 몸짓은 비현실적 환상을 자극한다.
백남준아트센터 관장 등을 지낸 박만우 플랫폼-엘 관장은 “‘플랫폼-엘’의 L은 모기업의 브랜드 ‘루이까또즈’ 뿐 아니라 랩,라이프,링크,러브 등을 다양하게 의미한다”면서 “단순한 크로스오버, 다원예술을 선보이는 공간을 넘어 제작,창작,담론의 플랫폼이 되는 복합 크리에이션센터가 될 것”이라고 소개했다. 특정 미술관을 벤치마킹 하지는 않았지만 일부 기업미술관이 ‘사모님 미술관’으로 전락하는 것을 반면교사로 삼았다는 박 관장은 “모기업의 매출이 커질수록 우리 재단의 지원금이 많아지는 만큼 동반성장 및 지속성에 관심을 가졌다”며 “프랑스 국립조형예술센터와 협약을 맺었으며 앞으로도 다양한 활동을 모색할 것”이라고 밝혔다. 개관전은 8월7일까지.
/조상인기자 ccsi@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