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공공기관의 장애인 기업 제품 구매 비율을 늘리는 방안을 추진한다.
주영섭 중소기업청장은 27일 서울 장애인기업종합지원센터 입주기업 현장을 방문해 “공공기관의 장애인 기업 제품 구매를 ‘권장’에서 ‘의무’로 전환하는 방안을 추진할 계획”이라며 “구매비율도 0.45%에서 1%로 확대하기 위해 장애인기업활동촉진법 시행령 개정을 추진해 오는 7월 28일부터 시행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장애인 기업은 장애인이 소유하거나 경영하는 기업으로 상시근로자 중 장애인이 30% 이상인 기업으로 지난해 기준 3만9,536개 업체가 등록돼 있다. 중소기업청은 개정된 장애인기업활동촉진법이 시행되면 2017년에는 지난해 실적(1조900억원)보다 약 2,000억원 이상 공공구매가 늘어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날 간담회에서 장애인 기업 대표들은 수출지원센터와 연계한 수출지원 확대, 법인세·소득세 감면, 수의계약 활성화, 역사·시청 등 중소기업제품 판매 장내 장애인 기업 전용 공간 마련, 시제품제작지원 확대 등 장애인 기업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지원책을 요청하기도 했다.
주 청장은 “건의 내용을 장애인 기업 육성 정책에 최대한 반영하는 등 장애인 기업의 안정적인 성장을 위해 적극 노력하겠다”며 “기업 스스로도 제품 성능과 품질을 개선하는 등 경쟁력을 강화해 해외시장을 개척해 글로벌기업으로 성장해 나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줄 것”을 당부했다.
/강광우기자 pressk@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