흔히 자산관리라고 하면 재산이 어느 정도 있는 사람들에게나 해당 사항이 있는 이야기라고 생각한다. ‘과연 부자라서 자산관리를 하는 것일까? 아니면 자산관리를 해서 부자가 된 것일까?’라는 의문이 들기도 한다. 최근 실시한 설문조사를 보면 해답이 보이기도 한다. 자산관리를 하고 있는 사람들의 평균 순자산이 2~3억원 정도로, 하지 않고 있는 사람들(약 1.5억원)보다 훨씬 많이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좀 더 중요한 사실은 같은 소득구간에 있는 사람들도 자산관리를 하고 있는 사람들의 자산이 훨씬 많았다는 점이다. 소득구간이 같다면 평균 자산규모의 차이가 적었어야 하는데 생각보다 그 차이가 많았던 것이다. 부자가 되고자 한다면 처음부터 자산관리에 관심을 기울이는 것이 그 확률을 높일 수 있다고 보여지는 부분이다.
이번에는 부자들의 현황을 잠깐 살펴보자. 동국대 김낙년 교수가 2015년 발표한 논문 ‘한국의 부의 불평등’에 따르면 우리나라 상위 1%에 들기 위한 최소한의 순자산 규모는 9억 9,000만원이었으며 상위 1%들의 평균 순자산은 약 24억 4,000만원이라고 한다. 그렇다면 순자산 기준으로 약 10억원 혹은 25억원을 가지고 있으면 부자라고 인정할 수 있는 것일까? 1%가 아닌 99%의 사람들은 부자라고 생각할지도 모르겠지만 정작 상위 1%에 해당하는 사람들은 스스로를 그렇게 생각하고 있는 것 같지 않다. 하나금융경영연구소에서 발표한 2015 한국부자보고서(Korea Wealth Report)에 따르면 금융자산 10억원 이상 가진 사람을 대상으로 조사해 봤더니 부자의 최소 기준으로 보는 평균 자산금액은 무려 109억원에 달하고 있었다. 단편적으로 ‘있는 사람들이 더하네’라고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다른 측면에서 보자면 부자들은 새로운 목표를 끊임없이 부여하고 있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조사대상의 보유 금융자산을 금액규모별로 구분해 보았을 때 부자로 인정하는 최소자산규모는 점점 더 늘어나고 있었기 때문이다. 누가 봐도 부자이지만 스스로를 부자라고 인정하기보다는 더 높은 목표를 부여하고 달성하기 위한 노력을 계속하고 있는 것이다.
위 두 가지를 보면 부자가 되기 위해서는 재정적인 목표를 부여하고 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자산관리라는 수단을 활용해서 노력해야 한다는 결론에 이르게 된다. 자산관리를 너무 복잡하게 생각할 필요도 없다. 평소 경제와 금융시장의 환경변화에 관심을 기울이고 금융기관을 통해 새로운 금융상품 정보들을 접하면서 그 과정에서 필요할 때마다 적절한 의사결정을 반복하면 되는 것이다. 혹시나 잘못된 의사결정을 두려워할 필요도 없다. 그 속에서 경험과 지식을 습득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한 가치가 있으며 자산관리의 밑거름이 되어 다음 기회에 더 좋은 결과를 얻게 될 수도 있다. 처음부터 부자 부모 밑에서 태어나거나 로또에 당첨되지 않는 한 부자가 되기 위해 필요한 것이 한 가지 더 있다. 바로 시간이다. 자수성가한 부자들의 공통점 중 하나는 바로 나이인 것이다. 우리에게는 부자가 되기 위한 충분한 시간이 주어져 있다. 너무 조급하게 생각하지 말고 꾸준하게 노력해 간다면 당신도 얼마든지 부자가 될 수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