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창조과학부는 공공 기술로 창업하는 업체에 전문적으로 투자하는 ‘공공기술창업펀드’를 조성한다고 28일 밝혔다. 세부적으로는 ▲공공 기술 기반펀드(300억원) ▲신성장·특허기반 펀드(200억원) ▲벤처투자펀드(1,000억원)로 나뉜다.
이중 공공 기술 펀드는 공공 기술 상용화를 추진하는 창업 2∼3년차 기업을 지원하며, 신성장·특허 펀드는 정부 지원으로 나온 유망 공공 특허를 활용하는 사업안에 투자하는 것이 목표다.
벤처투자펀드는 창업 후 5년 이상 공공 기술 제품화를 순조롭게 추진한 우수 벤처 기업을 찾아 투자하는 기금이다.
이 3개 세부 펀드는 올해 12월부터 내년 10월 사이에 순차적으로 출범하며 앞으로 4∼5년간 투자를 집행하고 이어 다시 4∼5년 동안 투자금을 회수하는 식으로 운용될 예정이다.
펀드의 재원은 미래부, 특구진흥재단, 한국 모태펀드, 지방자치단체, 지역 은행, 민간투자자 등의 출자금으로 충당한다.
미래부 관계자는 “대학과 정부출연연구소에서 나온 공공 기술이 기술이전·창업 등으로 연결 못 되는 경우가 적지 않다”며 “전문 펀드 운영을 통해 공공 기술 성과를 제대로 시장에 퍼뜨릴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조양준기자 mryesandno@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