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인원 롯데그룹 부회장의 자살로 잠정 중단됐던 검찰 수사가 다시 속도를 내기 시작했습니다. 검찰이 오늘 오전 롯데가의 장남 신동주 전 일본롯데홀딩스 부회장을 피의자 신분으로 소환했는데요. 급물살을 타게 된 롯데그룹의 수사와 관련해 보도국 김혜영 기자와 함께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기자]
네. 안녕하세요.
[앵커]
그룹 내 핵심 인물로 꼽히던 이인원 부회장의 자살로 인해 잠시 주춤했던 검찰의 수사가 다시 속도를 내고 있는데요. 오늘 신동주 전 일본롯데홀딩스 부회장이 검찰에 소환됐죠?
[기자]
네, 오늘 오전 신동주 전 부회장이 피의자 신분으로 검찰에 출석했습니다. 사실상 오늘부터 검찰의 롯데수사가 재개가 된 것인데요.
롯데그룹 계열사에서 수백억원대 부당 급여를 수령한 의혹이 제기된 신동주 전 부회장이 검찰 조사에서 혐의를 일부 시인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신 전 부회장은 2006년부터 작년까지 10년간 롯데건설, 롯데상사·호텔롯데 등 그룹 주요 계열사 7∼8곳에 등기이사로 이름만 올려놓고 급여 명목으로 400억여원을 수령한 혐의를 받고 있는데요.
그는 검찰 조사에서 급여를 받았다는 점과 이를 개인적으로 사용했다는 점 등은 인정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그러나 “등기이사로서의 급여가 지급되고 있다는 것을 뒤늦게 알았다”며 범행의 고의는 없었다는 점을 밝히고 있습니다.
검찰은 등기이사로서 별다른 역할을 하지 않은 신 전 부회장이 거액의 급여를 받은 것은 부당하게 회삿돈을 횡령한 것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검찰은 작년 동생 신동빈 회장과의 경영권 분쟁 과정에서 드러난 계열사 간 부당 자산거래, 총수 일가 소유 기업에 대한 일감 몰아주기, 비자금 조성 등 여러 비리 의혹도 추궁하고 있습니다.
[앵커] 신 전 부회장 조사는 신동빈 회장 소환을 위한 사전 작업 성격을 띠고 있는 것으로 보이는데요.
[기자]
네. 신 회장은 인수합병 과정에서 발생한 손실을 다른 계열사에 떠넘기거나 알짜 자산을 헐값에 특정 계열사로 이전 하는 등 배임 혐의를 받고 있습니다.
검찰은 신 회장이 일본 롯데 계열사에 등기이사로 이름을 올리고 100억원대 급여를 받은 단서도 잡고 횡령 혐의를 검토하고 있습니다.
검찰은 신 전 부회장에 이어 다음 주 롯데그룹 핵심 관계자들의 조사를 마무리한 뒤 신 회장의 소환 시점을 결정할 방침입니다.
[앵커] 검찰은 신격호 명예회장과 셋째 부인 서미경씨, 막내 딸 신유미씨 조사도 준비하고 있죠.
[기자]
네. 검찰은 수사에 속도를 높이며 신회장의 셋째 부인인 서미경씨와 막내 딸 신유미씨에 대한 조사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서씨는 신 총괄회장으로부터 일본 롯데홀딩스 지분을 증여받는 과정에서 증여세를 탈루한 혐의, 신씨는 아무런 역할 없이 롯데 계열사 임원이나 주주로 100억원대 급여를 받은 혐의입니다.
고령에 건강이 좋지 않은 신 총괄회장도 서면 또는 방문조사 형태로 조사를 받을 것으로 보이는데요.
법원은 전날 정신적 제약에 따라 판단·사무처리 능력이 충분치 않아 주요 의사결정을 대신 할 한정 후견인이 필요하다는 결정을 내렸지만 검찰 수사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서씨 등과 함께 지분을 받은 신영자 롯데장학재단 이사장은 전날 검찰 조사에서 탈세 혐의를 대체로 시인한 것으로 전해는데요
신 총괄회장의 맏딸인 신 이사장은 롯데백화점과 면세점 입점 청탁과 함께 업체 관계자들로부터 35억여원을 받아 챙긴 혐의로 7월 구속 기소돼 재판을 받고 있습니다.
[앵커]
네. 롯데그룹을 향한 검찰의 칼날이 어떤 결과를 가져올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데요. 향후 수사방향은 어떻게 이뤄질 것으로 보입니까?
[기자]
검찰은 비자금 의혹 수사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데요. 그룹 비자금 조성에 있어 정책본부가 어떤 역할을 했는가, 또 그 과정에서 오너 일가가 얼마나 관여했는가를 중점적으로 조사하고 있습니다. 즉 정책본부를 비자금 조성 창구로 보고 있다는 거죠.
그러나 이 정책본부의 키맨이였던 이인원 부회장의 자살로 인해 결국 반쪽짜리 수사에 그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는 상황입니다.
이인원 부회장은 “롯데그룹의 비자금은 없다”며 “2015년까지 모든 결정은 신격호 총괄회장이 한 것이다” 라는 유서를 남겼는데요. 롯데 비자금 관련 최종 책임을 신격호 총괄회장으로 몰고 실무책임자를 이 부회장 쪽으로 본다면 자칫 롯데수사가 용두사미로 흐지부지하게 끝날 가능성도 무시할 수 없습니다. 실무 책임을 질 사람은 없고, 신격호 총괄회장 역시 고령에 치매약을 복용할 정도로 상태가 좋지 않아 수사를 하기도 쉽지 않아 책임을 묻기가 사실상 불가능한 상황이기 때문입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