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지난달 감소 폭은 2014년 3월 이후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나 노동시장 훈풍의 ‘청신호’가 될 수 있을지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16일 통계청의 성별 구직단념자 현황을 보면 지난달 구직단념자는 42만2,000명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11만6,800명 줄어들었다.
이는 정부가 국제노동기구(ILO)와 협의를 통해 기준을 바꿔 구직단념자를 집계하기 시작한 2014년 3월 이후 가장 큰 감소 폭이다.
지금까지 구직단념자는 매달 평균 3만∼4만명 가량 늘어나는 추세였지만 올해 4월 이후 증가 폭이 급격히 줄어드는 모양새다.
지난 4월 구직단념자는 1년 전보다 1만8,600명 늘어난 것에 그친데 이어 5월에는 6,200명으로 증가 폭이 더 쪼그라들었다.
6월에는 아예 마이너스로 돌아서 2만1,000여명 줄어들었고 7월(4만1,200명)과 8월에는 감소세가 급격하게 확대됐다.
구직단념자 감소세는 남성보다 여성에게서 더 뚜렷했다.
남성 구직단념자는 1년 전보다 6월 3,200명, 7월 900명, 8월 4만7,700명 줄어든 반면 여성은 같은 기간 1만7,700명, 4만400명, 6만9,300명 줄어들어 감소 폭이 더 컸다.
이 같은 감소세에 힘입어 여성 구직단념자 수는 지난 달 16만9,800명으로 집계돼 지난해 4월 16만2,100명을 기록한 이후 최저치인 것으로 분석됐다.
구직단념자는 주부·학생 등 비경제활동인구 중 취업을 희망했지만 노동시장의 상황이 좋지않아 일자리를 구하지 않는 사람 중 지난 1년 내 구직경험이 있는 사람을 말한다.
구직단념자는 비경제활동인구로 분류되지만 조만간 노동시장에 진입할 수 있는 잠재인력이기 때문에 향후 노동시장의 상황을 가늠하기 위한 분석 대상 중 하나다.
구직단념자의 감소세는 일단 긍정적 요인으로 봐야 한다는 것이 통계청의 분석이다.
외견상 구직단념자가 줄어든 것은 비경제활동인구 감소로 이어지는 만큼 향후 노동시장의 활력을 가져올 요인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지난달의 경우 고용률과 실업률이 동반 상승한 탓에 구직단념자가 취업자뿐만 아니라 실업자로도 전환됐을 수 있어 노동시장 개선을 아직 장담할 수는 없는 상황이다.
통계청 관계자는 “지난달 구직단념자 등 잠재구직자가 감소했는데 취업자나 실업자로 전환됐을 것으로 보인다”라며 “1년간 구직경험이 전무해 구직단념자 통계에서 빠졌을 가능성도 있지만 통계적으로 많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라고 말했다.
/세종=박홍용기자 prodigy@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