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연구원은 25일 ‘제4차 산업혁명에 대한 현황과 점검과 시사점’ 자료를 통해 “주요 선진국 사이에선 이미 4차 산업혁명 주도권 경쟁이 시작됐다”며 “자체 기술개발에 상당한 시간이 걸리는 만큼 M&A를 통한 핵심기술 습득이 시급하다”고 제언했다.
한경연에 따르면 소프트웨어 분야에서 미국은 지난해 총 934건의 M&A를 진행했다. 중국은 127건, 영국은 118건, 일본은 80건, 독일은 49건이었다. 하지만 한국은 20건에 불과했다. 미국의 약 2%, 독일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상황이다. 컴퓨터 분야에서는 미국이 243건인 데 반해 한국은 9건에 머물렀고 인터넷 분야에서는 미국(459건)의 20분의1 수준인 21건이었다. 김윤경 한경연 부연구위원은 “전 세계적으로 소프트웨어 시장의 재편이 빠르고 큰 규모로 일어나고 있는 데 반해 우리나라는 M&A 거래가 지지부진한 편”이라고 지적했다.
한경연은 M&A 외에도 미국 테슬라와 일본 파나소닉이 기가팩토리에 공동투자한 사례를 들며 컨소시엄이나 융합동맹체(얼라이언스)로 기술 변화에 대응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또 유럽연합(EU)이나 일본·미국과 같은 주요 선진국들이 4차 산업혁명을 국가 과제로 추진하는 만큼 적극적인 정부의 지원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EU는 ‘호라이존2020’을 통해 올해와 내년 예산안에 사물인터넷(1억3,900만유로)과 자율주행차(1억1,400만유로)를 적극 지원하고 있다. 일본은 ‘일본재흥전략’을 개정, 경제산업성의 신산업구조부회 설립과 민관 합동의 전략적 창조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한경연은 특히 우리나라 전체 산업의 30% 이상을 차지하는 제조업이 4차 산업혁명이 영향을 가장 많이 받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김 부연구위원은 “한국은 국내총생산(GDP) 대비 연구개발비나 과학기술논문의 질적 향상 등 기초 인프라에서는 좋은 점수를 받고 있다”며 “실제 4차 산업혁명 역량으로 이어지려면 기업의 적극적 대응과 이에 따르는 정부의 인식 전환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강도원기자 theone@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