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정부의 ‘통일대박론’과 함께 금융권에 불었던 ‘통일금융’ 열풍이 언제 있었냐는 듯 사그라지고 있습니다.
앞서 이명박 정부 때는 녹색성장 기조에 따라 관련 금융상품들이 쏟아졌다가 박근혜 정부가 들어선 후 종적을 감춘 바 있는데요.
금융권이 정부 정책 홍보수단으로 전락했다는 비판이 일고 있습니다. 정훈규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박근혜 대통령은 지난 2014년 신년사와 독일 드레스덴 연설에서 “통일은 대박”이라고 언급합니다.
이후 금융권에서는 ‘통일대박’, ‘통일기원’, ‘우리겨레’등의 이름을 붙인 통일 금융상품을 쏟아냈습니다.
이 상품들은 특별우대금리와 통일기금 적립으로 출시 초 큰 인기를 누렸지만, 지금은 초라한 실적으로 명맥만 이어가고 있습니다.
농협은행의 경우 결국 지난달 2년 만에 ‘NH통일대박 예·적금’ 판매를 중단했습니다.
판매 중단 한 달 전인 지난 9월 정기예금의 수신실적이 80억원대에 머물 정도로 찾는 소비자가 없었기 때문입니다.
지난 이명박 정부 때 인기를 끌다 사라진 녹색금융상품들과 같은 전철을 밟고 있는 셈입니다.
금융권이 정부 정책의 홍보 수단으로 전락해 ‘반짝’ 흥행에 열을 올린 뒤 폐기 처분하는 관치 금융상품의 전형적인 사례라는 지적이 나옵니다.
[인터뷰] 조남희 대표/ 금융소비자원
“금융 자체를 아주 너무나 쉽게 생각하는 것이 관치 금융의 한 단면인데요. 이벤트성으로 금융을 생각하고, 그런 관점에서 상품을 기획하고 시판하는 것을 너무 쉽게 생각하다 보니까…”
업계 일각에서는 고객 입장에서 금리 혜택을 받는 만큼 좋은 측면이 있다는 얘기도 나옵니다.
그러나 특별 우대 금리는 일부 계층 고객에게만 주어지기 때문에 공평하다고 보기도 어렵고, 시장 왜곡으로 금융권의 신뢰만 떨어뜨릴 뿐입니다.
/서울경제TV 정훈규입니다.
[영상편집 김지현]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