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13년 5,000만원에 수입차를 구매한 박모(33)씨는 요즘 자동차 정비를 받는 게 두렵다. 3년간의 무상 애프터서비스(AS) 기간이 끝나면서 작은 접촉사고 하나만 나도 부품 교체를 하는 데 수십만원에서 최대 수백만원의 수리비를 물어야 하기 때문이다. 박씨는 “연비가 좋은데다 각종 프로모션으로 정가 대비 1,000만원이 저렴한 장점 때문에 수입차를 구매했지만 비싼 순정부품 가격과 엔진오일 때문에 자동차를 모는 게 부담이 됐다”며 “수입차의 감가상각이 큰 것도 비싼 정품 수리비 때문인 것 같다”고 말했다.
2014년 말 기준으로 자동차 등록대수가 2,000만대를 넘어서면서 덩달아 수리비도 천정부지로 상승하고 있다. 김현아 새누리당 의원실에 따르면 2014년 우리 국민이 낸 자동차 수리비는 5조2,777억원에 달한다. 특히 수입차 수리비는 1년 전보다 15.4%나 뛴 1조1,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자동차 수리비를 끌어올리는 주요 원인은 값비싼 부품비가 지목되고 있다. 국산차 수리비 가운데 부품가격 비중은 42.6%를 차지하고 수입차는 59.8%에 달한다. 특히 수입차의 평균 수리비는 국산보다 3배나 높다.
문제는 대체부품이라는 선택지가 있음에도 규제 칸막이에 가로막혀 비싼 값에 정품부품을 사용할 수밖에 없다는 점이다. 정부는 지난해 1월 범퍼와 같이 수리가 잦은 부품을 교체할 때 자동차 제조업체가 생산하는 순정품과 품질은 비슷하면서도 값은 절반 수준인 대체부품을 사용하는 ‘자동차대체부품인증제’를 도입했지만 ‘디자인보호법’ 등의 원인으로 제도 활용률은 저조하기만 하다.
보험개발원은 대체부품 시장이 활성화되면 연간 6,009억원의 비용절약이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지난해 자동차 수리부품에 쓰인 돈은 2조6,223억원으로 사고 한 건당 평균 59만6,000원꼴이다. 대체부품 시장이 활발해지면 사고 한 건당 수리비가 45만9,400원으로 낮아져 13만6,600원을 줄일 수 있는 셈이다.
김 의원은 오는 25일 오전10시부터 국회 의원회관 제3세미나실에서 ‘자동차 부품 산업 현황 및 부품인증제도 활성화 방안’ 세미나를 주최할 예정이다. 이날 세미나에는 국토교통부·교통안전공단·보험개발원·한국자동차부품협회·중소기업중앙회·소상공인연합회·한국소비자원 등 관련 기관·단체가 참여한다. 김 의원은 “이번 세미나가 자동차 부품 산업의 현실적인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방안을 모색해 소비자, 중소 부품업체들에 혜택을 줄 수 있는 장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신재승 교통안전공단 실장은 “우수한 능력을 갖춘 업체를 발굴해 소비자의 권익 보호뿐 아니라 자동차 부품 시장의 발전을 모색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세종=박홍용기자 prodigy@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