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순실 국정농단 진상규명’ 국정조사 특별위원회 청문회가 6일로 다가오면서 9개 그룹 총수들이 어떠한 답변을 내놓을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국회 특위 의원들은 재단 출연금, 삼성물산과 제일모직 합병, 면세점 선정, 총수 사면 등에 “대가성이 있다”며 날카로운 칼날을 들이대고 있다. 기동민 더불어민주당 대변인은 4일 “경제는 어렵고 국민의 삶은 팍팍해지는데 재벌은 권력과 유착해 자기 이익 챙기기에만 급급했다”며 “국민 앞에 석고대죄해야 한다”고 으름장을 놓았다. 이번 국정조사에서는 기업의 방패막이 역할을 해야 할 여당이 탄핵 정국에서 제대로 힘을 발휘하지 못하면서 야당의 일방독주로 흐를 가능성도 예상된다.
이에 그룹 총수들은 주말에도 철저한 예행연습을 하며 사실관계를 명확히 밝히겠다며 막판까지 분주한 모습이다. 하지만 청문회에서 여야 위원들이 기업 오너를 마치 피의자마냥 호통으로 몰아붙이거나 창피 주기식으로 진행될 경우 반기업 정서가 확산될 수 있다는 우려를 조심스레 내비치는 모습이다. 주요 그룹별 청문회 핵심 쟁점과 관전 포인트를 짚어봤다.
◇삼성, 물산 합병·정유라 지원 ‘최대 쟁점’=특위 의원들은 지난해 이뤄진 삼성물산과 제일모직 간 합병을 정조준하고 있다. 합병과정에서 캐스팅보트를 쥔 국민연금이 불리한 합병비율에도 불구하고 손실을 감수하면서까지 합병에 찬성해줬고 그 대가로 삼성이 비선실세인 최순실씨 측과 미르·K스포츠재단에 거액을 지원했다는 것이다.
삼성은 “앞뒤 논리가 맞지 않는 얘기”라는 입장이다. 삼성 측은 지난해 서울중앙지법과 서울고법이 엘리엇 측의 가처분신청을 잇따라 기각하면서 ‘합병비율이 불공정하다고 볼 수 없다’고 판단한 점을 방어논리로 내세울 것으로 알려졌다.
또 특위 의원들은 삼성 측이 이재용 부회장 등 오너가에 삼성물산 지분을 많이 몰아주기 위해 삼성물산 주가를 인위적으로 떨어뜨렸다고 공격할 것으로 보인다. 이에 삼성 측은 건설입찰과 계약 등은 발주처가 정한 일정에 따른 것으로 회사가 시가총액이 거대한 삼성물산 주가를 조작하기는 힘들다는 논리로 방어막을 칠 것으로 전해졌다. 통합 삼성물산 출범은 공정하고 객관적인 절차를 거쳐 합법적으로 진행됐다는 점을 강조할 것으로 보인다.
최순실씨 딸 정유라의 승마지원 의혹에 대해서는 최씨 측의 협박에 따라 코레스포츠와 컨설팅 계약을 맺고 비용을 댔을 뿐이지 대가관계는 없었다고 주장할 것으로 전해졌다.
◇현대차, 광고지원·롯데, 면세점 추가발표 의혹=현대차그룹은 크게 두 가지 문제에 직면할 것으로 보인다. 최순실씨 지인이 소유한 회사 KD코퍼레이션으로부터 10억원가량의 물품을 납품 받고 차은택씨 광고회사에 13억원 상당의 광고를 밀어준 경위가 집중 추궁될 것으로 예상된다. 현대차는 소규모 광고의 경우 입찰 없이 추진할 수 있으며 물품납품·광고배정 등에 대가성은 전혀 없었다는 점을 강조할 것으로 알려졌다.
롯데그룹은 신동빈 회장과 박근혜 대통령의 독대 이후 면세점 추가 발표가 있었다는 의혹과 관련해 답변을 준비하고 있다. 롯데 측은 지난해 11월 롯데면세점 월드타워점이 특허 갱신에 실패한 후 5년 특허 한시법에 대한 지적이 학계와 정치권에서 제기됐다는 점을 부각할 것으로 전해졌다. 3월 초 이미 시내 면세점 추가 가능성이 언론에 보도된 상황이어서 신 회장과 박 대통령 간 독대는 시간상 전후 관계를 고려하지 않은 무리한 논리라는 입장이다.
◇SK·CJ·한화그룹은 사면 논란=SK와 CJ·한화그룹은 총수에 대한 사면 대가로 재단 출연이나 정부사업 지원에 나선 것 아니냐는 공격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SK 측은 미르·K스포츠재단에 낸 111억원의 자금은 전경련 모금비율에 따라 낸 것으로 사면과 관련한 대가성은 전혀 없었다는 점을 강조할 것으로 전해졌다.
CJ 측은 손경식 회장이 국정조사에 출석해 박 대통령과의 독대에서 이재현 회장 사면과 관련해 언급이 없었다는 점을 분명히 할 계획이다. 또 이미경 부회장 퇴진 압박에 대해서는 박 대통령의 뜻이었는지에 대해서는 알지 못했다는 주장을 펼 것으로 보인다. 이외에 한화그룹은 재단 출연금은 김승연 회장 사면이나 면세점 사업진출에 대한 대가가 아니라는 점을 강조할 것으로 보인다. 구본무 LG그룹 회장은 재단출연은 대가성이 없었다는 점을 부각시킬 것으로 예상되고 조양호 한진그룹 회장은 평창동계올림픽 조직위원장 사임에 대한 입장을 밝힐 것으로 보인다.
/서정명·김광수기자 vicsjm@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