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회에는 김진수 기초과학연구원 유전체교정연구단장과 서울대 장구(수의대)·장대익(자유전공학부) 교수 등 의생명과학자와 생명윤리·법·미래학자 등 인문사회학자 200여명이 참여한다.
학회는 이날 유전체교정연구단, 서울대 수의학과와 공동으로 서울대 글로벌공학교육센터(38동) 5층 대강당에서 창립기념 심포지엄과 창립총회를 개최한다.
초대 학회장으로 유력한 김진수 유전체교정연구단장은 6일 학회 창립 배경에 대해 “유전자 교정을 연구하는 의생명과학자는 물론 이 기술이 생명윤리·법과 미래 사회에 미칠 영향과 쟁점들을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들이 폭넓게 논의해 여론을 형성하고 불합리한 법·제도 개선에 힘쓰겠다”고 말했다.
안전성과 유효성이 검증되면 미국·영국 등처럼 ‘유전자 가위’ 같은 유전자교정 기술도 환자 치료에 쓸 수 있게 해줘야 한다는 취지다.
이 기술을 활용하면 정상인과 달리 특정 유전자 부위의 염기(A·C·T·G)가 없거나 배열 순서가 뒤바뀌어 생긴 혈우병 등 다양한 유전질환을 치료·교정할 수 있다. 하지만 ‘맞춤형 아기’ 등 불필요한 오해와 안전성에 대한 지나친 우려 때문에 환자를 대상으로 한 임상연구에 많은 제약을 받고 있다. ‘생명을 위협하는 질병’ ‘기존에 치료법이 없거나 기존 치료법보다 현저히 우수해야 한다’는 요건을 충족해야 하기 때문이다.
김 단장은 “혈우병 같은 유전질환을 앓는 부모들은 당장 생명을 위협받진 않지만 평생 비싼 주사제를 맞아야 하고 자녀에게 유전질환을 물려줄 수 있다는 사실에 고통받고 있다”며 “유전자 가위 기술로 이런 악순환의 고리를 끊고 고통을 덜어주는 게 인권존중·존엄성에 부합하지만 현행 생명윤리법은 인간 배아의 유전자 교정 연구를 금지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날 심포지엄은 유전자 교정의 역사(김진수 단장), 유전공학의 역사적 기원과 경제·사회적 영향(이두갑 서울대 서양사학과 교수), 유전자 교정에 대한 진화론적·윤리적 이슈(장대익 서울대 자유전공학부 교수), 유전자 교정기술에 대한 찬반양론(송기원 연세대 생화학과 교수) 등 주제발표와 패널 토론, 최신 연구동향 소개 순으로 진행된다.
일본에선 지난 6월 일본게놈편집학회(Japanese Society for Genome Editing)가 출범했고 미국도 제브라피시 유전자들을 켜고 꺼 기능 연구에 돌파구를 연 스티븐 에커(Stephen Ekker) 교수 등이 유전자교정학회 창립을 추진하고 있다. /임웅재기자 jaelim@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