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연구재단은 이주영 가톨릭대학교 교수 연구팀이 벌집에서 추출한 프로폴리스 성분인 ‘CAPE’(카페인산 페네틸 에스터)가 통풍의 염증을 조절하는 과정에 관여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25일 밝혔다.
통풍은 관절이나 관절 주위 조직에 요산이 침착되면서 유발되는 질환이다. 최근 인체 내에서 요산 결정에 반응해 염증 신호를 생성하는 ‘NLRP3’ 수용체가 확인됐다. NLRP3 수용체가 요산 결정을 인지하면 3가지 단백질이 결합해 염증조절복합체를 형성하고 염증성 사이토카인(신체의 방어체계를 제어·자극하는 신호물질)을 분비해 염증 반응을 유도한다. 통풍 치료를 위해 이 같은 복합체의 결합을 제어해 염증을 줄이는 방법이 쓰인다.
연구팀은 벌집의 프로폴리스에 많이 들어있는 CAPE가 급성 통풍 실험쥐 모델에서 부종을 완화하고, 사이토카인의 발현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CAPE는 염증조절복합체를 형성할 때 중요한 연결고리인 ASC 단백질에 직접 결합해 복합체가 형성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교수는 “기존 ‘비스테로이드 소염진통제(NSAIDs)’ 등 치료제는 통증 완화 효과가 일시적이고, 부작용을 일으킨다는 한계가 있었다”며 “벌집에서 추출한 천연물을 이용하면 인체 부작용이 없고, 근본적인 치료가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는 미래창조과학부·한국연구재단 기초연구사업의 지원을 받았으며, 네이처 자매지 ‘사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의 12월 9일자에 실렸다.
/민병권기자 newsroom@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