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유럽연합(EU) 국가들이 우리나라에 직접 투자한 금액의 규모가 세 배나 증가했다. 바이오·의약품과 화장품 분야 등이 주요 투자 대상이었는데 거대 시장과 자유무역협정(FTA)을 체결한 효과를 톡톡히 보고 있다는 평가다.
산업통상자원부는 3일 지난해 외국인직접투자금액(FDI)이 지난 2015년보다 1.9% 증가한 212억9,900만달러(신고금액 기준)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2015년(209억1,000만달러)에 이어 두 해 연속 기록을 경신했다.
제조업 투자는 2015년 대비 12.4% 증가한 51억3,000만달러를 기록하면서 1962년 이후 55년 만에 누적 금액이 1,000억달러를 돌파했다. 서비스업 투자는 5.3% 뛴 155억1,000만달러로 2011년 이후 5년 연속 증가세를 유지했다. 특히 지난해에는 그린필드형 투자가 150억2,000만달러로 전년 대비 6.4% 증가했다. 국내에 생산공장 등을 짓는 그린필드형 투자는 일자리 창출은 물론 글로벌 기업과 생산단계별로 연결되는 밸류체인(VC) 형성, 기술 유입 등 긍정적인 효과가 크다.
지난해 FDI를 이끈 곳은 EU다. EU는 전년보다 196.5% 증가한 74억달러를 국내에 투자했다. 2015년 말 발효된 한중 FTA 효과가 영향을 미쳤다. 우리나라는 EU는 물론 미국, 중국,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아세안) 등 거대 시장과 FTA를 맺고 있다. 산업부는 EU 투자에 대해 “현지 기업뿐 아니라 EU에 법인을 설립한 미국과 일본 기업들도 거대 시장의 진출기지 차원에서 국내에 투자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EU는 무엇보다도 바이오·의약(707%)과 화학(103%), 기계장비(21%) 등의 투자를 늘렸는데 이는 중국 시장 진출을 위한 교두보라는 설명이다.
중국의 대(對)한국 투자도 다양해졌다. 지난해 중국은 20억5,000만달러를 투자했다. FTA 체결 이후 반도체 후공정 부품 등 제조업은 물론 고급 화장품, 마스크팩, 마리나항만, 영화 제작 등의 다양한 분야에 투자를 늘렸다.
다만 미국과 일본의 한국 투자는 부진했다. 미국은 지난해 전년보다 29.3% 줄어든 38억8,000만달러, 일본은 25.2% 감소한 12억5,000만달러를 보였다. 미국은 2015년 투자금액이 54억8,000만달러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한 데 따른 기저효과 때문에 투자액이 줄었다. 우리나라 소재부품의 자급률이 높아지며 일본 기업이 국내에 투자를 줄인 영향으로 일본의 한국 투자도 줄었다.
FDI 도착금액이 크게 줄어든 것도 우려 요소다. 지난해 도착금액은 97억6,000만달러로 2015년(165억달러)보다 40.9% 감소했다. 채희봉 산업부 무역투자실장은 “도착금액 부진은 신고와 동시에 자금이 들어오는 인수합병(M&A)형 투자가 감소한 것이 원인”이라면서 “제조업은 신고 후 도착까지 7개월, 서비스업은 2.5개월 정도 걸리는데 관계기관과 협력해서 (투자금 도착이) 조기에 실현될 수 있게 하겠다”고 말했다. 또 올해 FDI에 대해서는 “금리 인상, 글로벌 보호무역주의 확산, 브렉시트(영국의 유럽연합 탈퇴, Brexit) 등 불확실성이 상존하고 있어 투자 여건이 우호적이지 않은 상황”이라면서도 “올해 역시 200억달러 이상의 FDI 성과를 달성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세종=구경우기자 bluesquare@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