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남성 삼성SDI 사장이 최근 국내외 사업장을 돌며 임직원들에 강조한 말이다. 지난해 단종 운명을 맞은 갤럭시노트7의 발화 원인이 삼성SDI와 중국 ATL 등이 납품한 배터리 결함으로 결론난 가운데 삼성SDI는 뼈를 깎는 품질 관리 개선을 진행해 성과를 거두고 있다고 23일 밝혔다.
삼성SDI는 지난해 9월 이후로 현재까지 총 1,500억원을 투자, 제조·기술 등 전 부문에 걸쳐 품질 검증 인프라 개선에 나섰다고 설명했다. 삼성SDI는 지난해 9월2일 삼성전자가 갤노트7의 리콜을 발표하자마자 충남 천안 사업장에 비상상황실을 꾸리고 ‘제품 안전성 혁신 태스크포스’를 꾸렸다. 이 태스크포스에는 △개발△제조·기술△품질·검증 등 3개 분과에 임직원 100여명이 투입됐다. 삼성SDI는 조만간 최고경영자(CEO) 직속 안전성 관리 센터를 신설해, 제품 안전성 기술력을 키우고 배터리 안전성 전부문을 통합 관리할 계획이다.
삼성SDI는 태스크포스의 진단에 근거해 제조·기술 부문에서 몇몇 표본 대상으로 실시하던 엑스레이(X-ray) 검사를 전수 검사 방식으로 바꿨다. 품질·검증 부문도 검사하는 표본 수를 기존 대비 1,000배가 넘는 수만 셀 단위로 늘렸고 검증 조건도 더욱 가혹하게 설정했다고 회사 관계자는 강조했다.
삼성SDI는 품질 검증에 쏟아부은 노력을 인정받아 최근 배터리 수주·매출이 증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 업체에 따르면 폴리머 배터리 판매량은 이미 지난해 11월부터 갤노트7 리콜 이전 수준으로 회복했다. 올해 1·4분기에는 스마트폰 배터리 주문량이 갤노트7 이전보다도 대폭 확대되고 전기차·에너지저장장치(ESS) 배터리 수주도 불어난다는 게 삼성SDI측 전망이다.
조 사장은 올해 신년사에서도 “제품 안전성을 최우선으로 하는 관행을 정착해 새로운 DNA로 각인시키자”고 당부했었다.
/이종혁기자 2juzso@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