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원회는 펀드 수탁고가 작년 말 기준 462조4,000억원으로 전년보다 11.8% 증가했다고 밝혔다.
펀드 수탁고는 2014년 371조원에서, 2015년 414조원, 작년에 462조4,000억원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다.
대내외 불안정성으로 안전자산 선호 경향이 짙어지면서 주식형 펀드는 67조원으로 1년 전보다 10.2% 감소했으나, 채권형펀드와 머니마켓펀드(MMF)는 각각 21.2%, 11.6% 늘어났다. MMF 수탁고가 늘어난 것은 저성장·저금리 기조와 대내외 불확실성으로 투자처를 찾지 못한 대기성 자금이 유입됐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작년 말 기준 전체 펀드의 평균 수익률은 6개월 기준 2.00%, 1년 기준 2.82%, 3년 기준 9.81%로 나타났다. 특히 부동산펀드 수익률이 6개월 4.45%, 1년 8.82%, 3년 29.12% 등으로 가장 높았다.
단기 주가연계증권(파생형 펀드)의 6개월 수익률도 6.25%로 두드러졌다. 파생형펀드는 1년과 3년 수익률이 각각 4.55%, 3.96%로 나타났다.
또 3년 누적 기준 사모펀드 수익률(13.4%)이 공모펀드(7.8%)보다 높았다. 사모펀드는 작년에 순자산과 설정액이 모두 공모펀드를 추월했다.
금융위 관계자는 “코스피가 박스권에서 정체해 공모시장 투자매력이 떨어지면서 개인투자자 비중이 낮아졌다”며 “법인투자자는 제도개편 이후 사모시장 확장, 운용사의 적극적 투자유치 노력으로 투자가 늘어났다”고 설명했다. /이현호기자 hhlee@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