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단 출연금을 일종의 뇌물로 봤다는 점에서 출연금을 낸 53개 기업과 총수 모두가 자유로울 수 없는 상황이 됐죠. 특검의 조사에 따라 대기업 총수들이 줄줄이 구속되는 초유의 사태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구속된 17일 재계의 분위기는 그야말로 침울했다. 재계 관계자들은 말을 아꼈고 특검 조사가 얼마나 확대될지 촉각을 곤두세웠다. 특히 특검의 다음 타깃으로 지목되는 SK·롯데·CJ·포스코 측은 잔뜩 긴장한 모습이다. 재계 한 관계자는 “적폐청산 명분으로 기업인을 범죄자로 모는 분위기에 기업 경영이 꽁꽁 얼어붙을 수 있다”고 우려했다.
◇3일 만에 바뀐 특검 기조…SK·롯데·CJ 노심초사=지난 14일 특검이 수사기간을 고려해 삼성 외 다른 기업에 대한 수사 확대는 불가능할 것이라고 선을 그었을 때만 해도 재계는 숨을 돌린 듯했다. 총수 수사가 일단락되면 미뤄왔던 기업 활동을 재개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에서다.
하지만 특검 연장을 통해 대기업 수사 재개 가능성이 부상하면서 분위기는 사흘 만에 180도로 달라졌다. 충격에 휩싸인 경제단체들은 우려의 목소리를 쏟아냈다. 한국경영자총협회는 “불확실성 증대와 국제 신인도 하락은 가뜩이나 어려운 우리 경제에 큰 부담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국무역협회 역시 “이재용 부회장의 구속은 한 기업인의 구속과 기업 이미지 훼손에 그치지 않고 전체 기업인에 대한 사회의 부정적 인식을 확대하고 기업가정신을 후퇴시킬 것”이라고 전했다. 대한상공회의소는 “글로벌 경쟁의 최일선에 있는 국내 대표 기업이 경영 공백 상황을 맞게 된 데 대해 우려와 안타까움을 표한다”고 밝혔다.
하지만 여론이나 특검의 수사 의지는 꺾이지 않고 있다. 추가로 대기업을 수사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다.
특검 수사 대상에 오르내렸던 기업들은 다시 초긴장 상태다. SK그룹이 대표적이다. SK는 지난 2015년 8월 최태원 회장의 사면을 놓고 박근혜 대통령과 거래가 있었다는 의혹을 받았다. 안종범 전 청와대 정책조정수석이 미리 사면 사실을 알려줬다고 검찰 수사 때 진술해 대가성 논란도 일었다. 롯데는 지난해 5월 K스포츠재단의 경기 하남시 체육시설 건립 사업에 70억원을 냈다가 한 달 만에 검찰 압수수색이 이뤄지자 이를 돌려받았다. 일각에서는 출연 대가로 지난해 3월 신동빈 회장이 박근혜 대통령을 독대한 뒤 서울 시내면세점 특허권이 추가된 게 아니냐고 의심한다. CJ그룹은 이재현 회장의 지난해 8월 광복절 특사와 관련한 청탁이 있었다는 의혹의 눈초리를 받는다. 해당 기업들은 “대가성이 전혀 없고 앞뒤가 안 맞는 이야기”라며 강력 부인한다. 그럼에도 최태원 회장과 신동빈 회장은 출국금지 상태이고 이재현 회장도 미국에서 치료를 받으려 했지만 비자발급을 받지 못하고 있다. 사실상 총수들의 발을 묶어놓아 경영 활동에 제약이 이어지고 있다는 지적이다.
◇특검 수사나 대선 등 반기업 분위기 이어질 듯=재계는 이재용 부회장 구속의 충격이 한국 경제에 미칠 파장을 고려하지 않은 채 특검이 여론에 휘둘린 채 계속 기업을 옥죌까 두려워한다. 특히 특검의 수사기한이 연장되지 않더라도 당분간 반기업적 분위기는 계속될 것이라는 부담도 크다. 만약 대통령 탄핵안이 인용돼 조기 대선, 새로운 정권이 출범하더라도 특검 자료를 넘겨받은 검찰은 대기업 수사를 이어갈 가능성도 남아 있다. 특검이 일종의 수사 가이드라인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검찰이 강력한 조사를 할 수 있다는 관측이다.
한 재계 관계자는 “대내외적으로 어려운 상황에서 사실상 올 한 해는 기업 경영에 집중하기 힘든 상황이 됐다”며 “우리 경제에 미칠 영향에 대해 좀 더 신중한 검토가 필요한 상황”이라고 말했다./강도원기자 theone@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