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후준비가 힘든 이유 중 하나는 자녀교육 때문이다. 바꿔 말하면 본인의 노후준비보다 자녀교육을 우선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자신의 노후 생활이 시기적으로 뒤에 있을 뿐 결코 자녀교육보다 덜 중요한 사항은 아니다. 또 부모의 불안한 노후는 나중에 자녀에게도 부담으로 작용한다. 이런 관점에서 보면 자녀교육과 노후준비는 동등한 가치다. 만약 중산층 이상 가구가 자녀교육 때문에 노후준비를 못한다면 자녀교육에 지나치게 돈을 쓰는 건 아닌지 점검해야 한다.
물론 자녀 교육관은 사람마다 차이가 있어 적정한 교육비 지출을 정하는 일이 쉽진 않다. 관건은 계획적인 지출이 될 수 있도록 자녀교육에 명확한 원칙이 있어야 한다는 점이다.
첫째, 자녀 1인당 사교육비와 노후준비 비율은 1:1을 지키자. 2015년 기준 참여학생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는 35만 5,000원이다. 노후준비에 자녀교육과 동등한 가치를 둔다면 월 30만원 이상은 자신의 노후준비를 위해 챙기는 것이 맞다. 월 30만원을 연 4% 수익률 가정으로 30년 적립하면, 2억원 정도의 노후자산을 만들 수 있다. 또한 연금저축으로 세액공제를 최대한 받으려면 월 33만3,000원(연 400만원)을 저축해야 하는데, 이 금액과 비슷한 수준으로 절세혜택도 효과적으로 받을 수 있는 금액이다.
둘째, 자녀 1인당 총 교육비는 소득의 10%를 넘지 않게 하자. 자녀가 특목고 등에 진학하면 교육비용은 급격히 늘어나게 된다. 현재 소득에서 감당할 수 있더라도 부가적으로 발생하는 비용들이 생각보다 많아질 수 있기 때문에 현재 소득에 따른 기준도 꼭 필요하다. 중산층 가구 평균소득(월 366만원) 기준으로 보면 참여학생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 35.5만원은 약 10%에 해당한다. 이에 따라 사교육은 물론 기본적인 학교교육을 넘어서는 사립학교 비용까지 포함해 1인당 총 자녀교육비는 가구소득의 10%를 넘지 않도록 하자. 자녀가 2명 이상이라면 가구소득의 20% 까지는 확대해도 괜찮다.
마지막으로 교육비는 최소 5년 전부터는 미리 준비하자. 자녀교육에 목돈이 필요하다면 때가 닥쳐서 지출하는 방법보다는 미리 준비하는 것이 좋다. 예를 들어 초등학교에 들어가면 특목고나 자사고 등록금을, 중학교에 입학하면 대학등록금 준비를 시작하는 것이다. 금융수익에는 복리효과라는 것이 있기 때문에 투자기간을 길게 할수록 수익이 커지면서 목돈준비에 대한 부담이 줄어든다. 충분한 금융투자수익을 통해 실제 부담을 낮추는 효과를 가져오려면 5년 정도 중기 이상의 투자기간을 감안해 미리 준비하도록 하자.
과거처럼 자녀의 성공이 곧 부모의 성공이던 시절은 이미 지났다. 자녀가 부모의 노후를 책임져 주는 시대도 아니다. 부모의 입장에서 교육을 통해 자녀가 사회에서 제 몫을 다할 수 있도록 키우는 일은 너무도 당연하다. 하지만 경제적인 역량을 넘어서는 무리한 자녀교육은 가계재정에 독이 될 수 있고 사교육의 효과 또한 100% 장담할 수 없다. 적정한 자녀교육비 지출이 부모와 자녀 모두에게 행복한 100세시대를 만들 수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