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은 지난 1월 6일부터 금감원 내 특별조사국을 중심으로 정치테마주 특별조사반을 운영하고 있다. 통상 대선이 있는 해의 연초부터 특별조사반을 미리 꾸려 1년 가까이 활동을 한다. 직전 대선인 18대 때는 준비기간까지 포함해 총 1년8개월 동안 150개가 넘는 테마주의 주가 흐름과 거래 동향을 집중 조사했고, 불공정거래 행위자 47명을 검찰고발 조치하는 성과를 내기도 했다.
올해는 상황이 달라졌다. 박근혜 전 대통령의 파면으로 19대 대선 날짜가 5월9일로 당겨진 만큼 특별조사반의 활동이 평소의 절반인 6개월에 그친다. 대선이 끝나면 나머지는 수사기관 통보 등 ‘뒷정리’를 하는 기간임을 고려하면 실질적인 운영 기간은 4개월 밖에 되지 않는다. 특별조사반 관계자는 “대선이 가까워 오면서 주말 출근이 잦아지고 있다”고 전했다.
그나마 정치테마주가 ‘기승’을 부린 18대 대선 때보다는 덜하다는 것이 증권업계와 금융당국의 공통된 지적이다. 지난 대선에선 당시 금융당국이 부정거래를 적발하면 바로 검찰에 고발하는 긴급조치권을 발동해야 할 만큼 시장이 혼탁했다. 최근에는 테마주로 분류된 기업들이 자진해서 ‘해당 정치인과 무관’하다는 공시를 하며 테마주에서 탈피하려 하고 있다. 금감원 관계자는 “기업과 투자자 모두 테마주에 대한 학습효과를 거둔 것”이라고 분석했다.
그렇다고 테마주가 완전히 사라진 것은 아니다. 단순히 ‘문재인 테마주’, ‘안철수 테마주’처럼 대선주자 테마주가 아니라 정책 테마주로 투기 심리가 옮겨갔기 때문이다. 금감원에 따르면 올해 들어 일자리 창출, 4차 산업혁명, 출산 장려, 4대강 복원 등 대선 후보들의 공약 관련 정책테마주의 주가변동률은 16.7%로, 정치인테마주(16.4%)와 유사한 흐름을 보이고 있다. 이는 시장지수 평균 변동률(3.3%)의 5.1배 수준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근거 없는 루머와 풍문에 현혹된 투자는 금물”이라며 “과거에도 대선 테마주는 결국 주가가 하락했다”고 강조했다.
/조양준기자 mryesandno@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