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중은행과 저축은행 등이 잇따라 대출을 조이면서 오갈 데 없는 7~10등급 저신용자들이 직격탄을 맞을 것이라는 우려가 현실로 나타나고 있다. 저신용자들은 기존 대출을 돌려막기를 하면서 재기 기회를 노리는 다중채무자들이 대부분인데 시중은행부터 제2금융권까지 전방위적으로 가계대출을 조이면서 제도권 금융의 마지막 남은 ‘동아줄’마저 끊어지게 된 셈이다. 올 들어 금융당국이 가계부채 관리 대상을 시중은행에서 저축은행과 캐피털사 등 제2금융권 전반으로 넓혀 가계부채 증가와 건전성 관리에 나서면서 저신용자들이 대부업과 사금융으로 밀려날 가능성이 높아진 것이다. 실제 일부 캐피털사들은 상환 여력이 부족한 저신용자를 걸러내는 방식으로 가계대출의 올해 증가액 목표치를 연초 계획보다 대폭 줄이기로 했다.
17일 신용정보 업체의 한 관계자는 “저축은행 등 2금융권을 이용하는 저신용자들은 이미 연 대출 금리가 10~20% 수준인데 이 상태에서 대출 만기 연장 등이 거절당하거나 연체가 발생하면 금방 저신용자로 몰락해 금리 부담이 꼭지까지 차오를 수 있다”고 말했다.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 이후 국내 대출금리가 상승세를 타는 것도 최하등급 저신용자의 증가 속도를 빠르게 하고 있다. 7~10등급자들은 변동금리 대출이 상대적으로 많은 것으로 추정되는데 부채 상환 능력이 부족하기 때문에 이자 부담이 커지면 다중 연체로 접어들어 제일 먼저 부실화될 수 있어서다.
이미 돌려막기 실패 등으로 인해 저신용 전락을 초래하는 카드사와 저축은행 등 제2금융권 부채 연체를 겪는 사람이 늘고 있는 것으로 감지된다. 카드사의 지난해 말 기준 대출 연체액은 8,900억원으로 전년보다 26% 증가했으며 저축은행의 가계대출 연체액도 전년보다 11.9% 증가한 1,040억원에 달했다. 문제는 최근 제도권 금융의 마지막 보루인 대부업체들마저도 법정 최고금리가 27.9% 낮아진 후 신용등급 7등급 이하에 대한 대출 규모 비중을 줄이고 있다는 점이다. 한국대부금융협회 관계자는 “최고금리가 인하된 후 7등급 이하 취급액 감소 비율이 두드러진다”며 “이들은 연체율이 높아서 현재의 최고금리로는 수익을 내기 어렵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결국 9~10등급자들은 저축은행은 물론 대부업체들도 대출을 꺼리는 제도권에서 사실상 ‘버림받은 등급’이 됨으로써 사채 등 사금융업체의 먹잇감이 되기 쉬운 처지가 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연이율이 2,000%를 넘나드는 고금리로 돈을 융통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 된다.
제2금융권의 한 관계자는 “우리 쪽에서 돈을 빌려다 쓰는 사람이 돈줄이 막히면 더 이상 다른 금융회사를 찾기란 어려운 게 사실”이라며 “가계부채 대책이 더욱 정교해지지 않으면 금리나 한도 조정의 부담이 대부분 서민들에게 지워지기 쉽다”고 말했다.
/조권형기자 buzz@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