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는 18일 전국 100인 이상 기업 258개를 대상으로 실시한 ‘2017년 신규 인력 채용동태 및 전망조사’를 통해 올해 기업들의 신규 인력 채용 예상 규모는 지난해 보다 6.6% 급감할 것으로 예상했다.
기업 규모 별로는 100~299명의 중소 기업은 채용 규모를 지난해 보다 14.8% 줄일 것으로 예상됐다. 또 300~999명 규모 기업은 8.5%, 1,000명 이상의 기업은 3.9%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특히 올해 대졸 신규 채용 규모는 전년 보다 7.3% 줄어 3년 연속 감소세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고졸 채용은 7.9% 줄어들 것으로 예상됐다.
더 큰 문제는 신규 채용을 계획 또는 완료한 기업이 전체의 53.7%로 2011년(64.2%) 이후 가장 적다는 점이었다. 채용 계획 미결정 또는 유동적이라고 답한 곳은 25.3%였고 채용 계획이 없다고 한 곳도 21%로 2011년(9.9%) 이후 가장 높았다.
기업들이 신규 인력을 뽑지 않는 이유는 ‘경기 침체에 따른 경영실적 악화’(46.6%)가 가장 많았고 대내외 불확실성 증가(21.2%), 정년 60세 시행에 따른 신규 채용 여력 축소(14%) 등이 뒤를 이었다. 기업들은 임금을 동결할 경우 신규 채용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응답(47.3%)했다. 임금 동결을 위해서는 대졸 초임 하향 조정을 통한 재원 마련(19.6%)이 필요하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신규 채용 근로자 가운데 신입은 69.1%, 경력은 30.9% 수준이었다.
/강도원기자 theone@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