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아산병원 암병원은 국제공동연구개발프로그램인 ‘유로스타2’의 지원을 받아 진행성 직장암 바이오마커 연구개발 과제를 3년간 진행한다고 20일 밝혔다. 이에 따라 맞춤형 암 치료 연구개발을 전문으로 하는 국내 바이오벤처 씨비에스바이오사이언스, 분자진단 전문 기업인 프랑스 벤처 프레스티지아와 손잡고 연구한다.
바이오마커는 혈액이나 조직 내 존재하는 단백질이나 유전물질(DNA) 등을 이용해 특정 약물이나 칠에 대한 반응 정도를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지표다. 대장 맨 끝 부분인 직장에 암이 생기는 직장암의 경우 수술 시 항문을 보존하는 일이 쉽지 않아 수술 전 항암·방사선 치료를 통해 암의 크기를 줄이는 치료가 선행되면 더 좋다는 게 전문의들의 공통된 의견이다. 다만 환자의 약 절반 가량에게는 항암·방사선 치료 효과가 적거나 거의 없다는 사실이 걸림돌이다. 효과가 없는 경우 구토, 식욕 저하 등 부작용만 크고 불필요한 시간 낭비로 암을 더 악화시킨다.
유창식 서울아산병원 암병원장(대장항문외과 교수)은 “바이오마커가 개발되면 조직검사나 혈액검사를 통해서 미리 치료 효과 유무를 파악할 수 있게 되는 만큼 많은 환자들이 불필요한 치료를 받지 않게 되는 등 진정한 의미의 맞춤 치료가 현실화 될 수 있을 것”이라며 “바이오마커 개발이 완료되면 국내는 물론 유럽에 인허가 신청을 한 후 상용화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유로스타2는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와 범유럽 공동 연구개발 네트워크인 유레카 사무국이 운영하는 국제 공동기술 개발 프로그램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산업통상자원부 산하기관인 한국산업기술진흥원(KIAT)을 통해 해당 사업을 지원하고 있다.
/김경미기자 kmkim@sedaily.com
/김경미기자 kmkim@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