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이 빛에 반응하는 화학물질(광감작제)을 활용해 암세포만을 골라서 없애는 기술을 개발했다.
종 전의 항암치료는 항암제 투여와 방사선 치료법에 의존하여 경제적 부담과 인체 부작용을 야기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특정 파장의 빛을 흡수해 활성 산소를 만들어 주변의 암 세포를 없애는 방법인 광역동 치료가 주목받고 있다. 그렇지만 우수한 광감작제는 물에 잘 녹지 않아 적용이 어렵고, 치료 이후 체 내 여러 장기에 남아 햇빛과 반응해 활성산소를 발생시켜 정상 조직이 손상되는 등의 부작용이 있었다.
민달희 교수(서울대) 연구팀은 암세포에만 선택적으로 광감작제를 전달하는 기능성 나노시트를 개발했다고 23일 발표했다. 연구팀은 종전 광역동치료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혈액 내 안정성이 높고 암세포 내 환경에서는 쉽게 분해되는 이산화망간 나노시트에 주목했다.
연구팀은 많은 암세포에는 엽산 수용체가 과다 발현되어 있다는 점에 착안, 엽산이 도포된 이산화망간 나노시트를 합성했다.
이번에 개발한 나노시트는 암세포만을 선택적으로 없애기 때문에 정상 조직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 기존 광역동 치료에 비해 난용성 광감작제 투여량을 10분의 1로 줄여도 치료 효과를 나타냈다.
암세포 치료 후 복합체가 체내에서 분해되기 때문에 독성이 적은 것도 특징이다.
연구진은 복합체의 치료 효과를 동물 실험을 통해 확인했으며, 앞으로 임상 시험을 통해 항암제 시장에 진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특히 피부암, 폐암, 식도암, 자궁경부암 등에 대한 광역동치료 시술 성공률을 크게 향상 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미래창조과학부 한국연구재단 기초연구지원사업 등의 지원으로 수행된 이번 연구 결과는 응용화학 분야 국제학술지인 투디 머티리얼즈 11일자에 게재됐다.
민달희 교수는“앞으로 부작용이 적고 시술성공률이 높은 차세대 항암치료 기술로 발전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문병도기자 do@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