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만 이러한 정책이 내수 부진을 상당히 해소하고, 내수/소비주 전반에 지속적인 온기를 불어넣어 주기에는 한계가 존재.
-2013년부터 본격화 된 내수 부진이 단지 순환적이고 일시적인 이유만은 아니라는 점. 높아지는 부채 부담, 미래에 대한 불안으로 자금을 쌓아두려는 심리 등이 과거보다 강해졌기 때문.
-과거 일본도 15~64세까지로 분류되는 생산가능인구(working population)의 비중이 1992년을 정점으로 꺾이기 시작하면서 내수 소비의 절벽나타나.
-정부가 대규모 재정집행만 하더라도 총 6차례에 달하는데, 충격을 줄이는 역할만 했을 뿐 소비를 되살리지는 못했음.
-추경을 집행하고, 현 정부가 일자리 확대에 집중하는 이유도 결국 이러한 구조적인 문제에서 오는 충격을 최대한 ‘완충’하기 위함임을 알아야
/이경운기자 cloud@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